South Korea Proposes Military Talks With North at Their Border

한국정부, 북한에 군사분계선에서 군사회담개최를 제안

 By CHOE SANG-HUN JULY 17, 2017
 최상훈 2017년 7월 17일

 Soldiers in the border-straddling village of Panmunjom in the Demilitarized Zone, where the two Koreas have often held talks. Credit Lam Yik Fei for The New York Times

비무장지대내 경계선에 걸쳐있는 장소인 판문점에 있는 군인들의 모습. 이곳은 남,북한이 자주 회담을 펼치는 곳이다. 사진출처 : 람 익 페이 / 뉴욕타임즈

 

SEOUL, South Korea  South Korea on Monday proposed holding military and humanitarian talks with North Korea, aimed at easing tensions along their heavily armed border and arranging reunions of families divided decades ago by the Korean War.

서울, 한국 - 중무장된 국경을 따라 조성된 긴장감을 완화하고 한국전쟁에 의해 수십년전 헤어진 가족의 상봉을 추진하기 위해, 한국정부는 월요일 북한에 군사 및 인도적 회담을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North Korea did not immediately respond. Its reaction will be the first test of the pro-dialogue policy of South Korea’s liberal new president, Moon Jae-in, who argues that talks are the likeliest way to end the crisis over Pyongyang’s nuclear weapons program.

북한은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반응은 한국의 새 진보적인 대통령인 문재인 대통령의 대화를 우선하는 정책의 첫번째 시험대가 될 것인데, 현재 문대통령은 대화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위기를 종식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The South wants to send a military delegation to the border village of Panmunjom on Friday to discuss “stopping all hostile activities that raise military tension” along the border, Vice Defense Minister Suh Choo-suk said on Monday.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월요일, 대한민국 정부는 "군사적 긴장감을 증대시키는 모든 적대적인 행위를 멈추는 것"을 논의하기 위해 금요일 국경에 위치한 판문점으로 군사 대표단을 보내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Such a meeting would be the first between the two governments since 2015 and the first inter-Korean military dialogue since 2014.

그러한 회담은 2015년 이후로는 양국 정부간 최초의 회담 사례가 될 것이며, 2014년 이후 최초의 남북한간 군사적 대화가 될 것이다.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ad proposed such talks in a May 2016 speech. But the South’s then-president, Park Geun-hye, a conservative who has since been impeached and removed from office, rejected the offer, calling it insincere and demanding that the North first move toward dismantling its nuclear weapons program.

북한의 최고 지도자인 김정은이 2016년 5월 이러한 회담을 제안했었으나, 그 당시 보수진영 대통령이었고, 나중에 탄핵을 당해 청와대에서 물러나게 된 박근혜 대통령은 그 제안이 진실하지 않으며 먼저 북한에서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기 시작하라고 요구하며 이를 거절했다.

Mr. Moon reaffirmed his commitment to dialogue in a speech in Berlin this month, days after Pyongyang conducted its first test of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첫번째 시험발사를 시행한지 몇 일 후, 문대통령은 베를린 연설에서 양국간 대화에 대한 자신의 다짐을 재확인했다.

Mr. Suh, the vice defense minister, on Monday called on the North to restore a military hotline that Pyongyang cut off in 2016, amid tensions following its nuclear test in January of that year. Without the hotline, the two militaries have no means of communicating quickly and directly to avoid an unintended conflict.

서국방차관은 월요일, 2016년 1월에 시행된 핵실험 이후 이어진 긴장국면 속에 북한이 2016년에 끊어버린 군사 직통전화를 다시 재건하자고 북한에 요청했다. 직통전화가 없다면, 양국 군은 의도치 않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재빠르고 직접적으로 의사소통할 수단이 없게 된다.

South Korea did not disclose what specifically it wanted to discuss if military talks were held. In past meetings, North Korea has demanded that the South stop holding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the United States and end the use of loudspeakers to broadcast propaganda along the border. South Korea has recently accused the North of sending military drones to spy on the South, an issue that Seoul would be likely to raise.

한국은 만일 군사 회담이 성사된다면 정확하게 무엇을 논의할 것인지 밝히지 않았다. 과거 회담에서, 북한은 남한이 미국과의 연합 훈련 개최를 그만두고 휴전선을 따라 선전을 방송하는 확성기를 더 이상 사용하지 말것을 요청해왔다. 남한은 최근 북한이 남한을 염탐하기 위해 무인 군사비행물체를 보낸것을 비난했고, 이는 남한정부가 제기할만한 주제이다.

Also Monday, the South Korean Red Cross Society proposed a meeting at Panmunjom on Aug. 1 with its North Korean counterpart, to arrange reunions of relatives in the North and South who have not seen each other since being separated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또한 월요일, 남한의 대한적십자사는 북한 적십자사에게 8월1일에 판문점에서 1950년에서 1953년 사이에 발생한 한국전쟁중 이산가족이 된 이후 서로 만나지 못한 남북한 친척의 상봉을 추진하기 위한 회담을 제안했다.

Those reunions, which have been held occasionally over the years, are a highly emotional issue and are widely seen as a barometer of inter-Korean relations. Mr. Moon said in his Berlin speech that the reunions should resume.

수년동안 간헐적으로 이뤄져왔던 이러한 상봉은 매우 감성적인 주제이고 남북한 관계의 지표로 폭넓게 인식되어 왔다. 문대통령은 베를린 연설에서 이 상봉은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The last such meetings were held in 2015, when fewer than 100 elderly Koreans from each side were allowed to spend three days with their family members. About 60,000 South Koreans are still hoping for a chance to see wives, siblings and parents across the border before they die. More than half of them are in their 80s or older.

가장 최근에 이뤄진 상봉은 2015년 이었으며, 양측에서 100명 보다 적은 어르신들이 가족들과 3일을 지낼 수 있도록 허락되었다. 60,000명의 남한 사람들은 죽기전에 국경을 건너 아내와 형제자매 및 부모를 만날 기회를 갖게되길 여전히 바라고 있다. 그들 중 절반 이상은 80대 이거나 그보다 더 나이가 많다.

North Korea has said it will not allow another round of reunions unless the South sends 12 North Korean waitresses back to the country. South Korea has said that the women, who worked at a North Korean restaurant in China, chose to defect to the South with their manager last year, but Pyongyang accused the South of kidnapping them.

북한은 남한이 12명의 북한 식당 여종업원들을 자신들에게 보내지 않으면 추가적인 상봉을 허락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남한은 중국에 있는 북한식당에서 일했던 그 여성들이 남한으로 망명하길 선택했다고 밝혔지만, 북한은 남한이 그들을 납치했다고 비난했다.  

Pyongyang has also demanded the return of Kim Ryen-hi, a North Korean defector in the South who has said she made a mistake and wants to go back. South Korea has said there are no legal grounds for sending her back to the North.

북한은 또한 북한에서 남한으로 망명한 김련희의 송환을 요청했는데, 그녀는 실수로 남한에 왔으며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말했었다. 남한은 그녀를 북한으로 돌려보낼 어떤 법적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is discussing a new set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over its ICBM test. The North has warned that such a move would lead to unspecified retaliatory measures, which analysts said might include another nuclear or long-range missile test.

유엔안전보장이사회(UNSC)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에 대한 새로운 제재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북한은 그러한 움직임이 불특정한 복수의 수단을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분석가들은 이러한 수단에 또다른 핵미사일이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가 포함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원문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세요.(Please find original article in following link):

https://www.nytimes.com/2017/07/17/world/asia/north-korea-south-military-talks.html


posted by Simmani
:

 

Usedom draws visitors with its white sandy beaches and quaint seaside towns 

(Credit: Ullstein Bild/Getty Images)

우제돔 섬은 흰색 백사장과 진기한 해변 도시로 관광객들을 불러들인다


Peenemünde looks out across the mouth of the River Peene where it drifts into the Baltic Sea. In 1935, engineer Wernher von Braun pinpointed the village, which offered a 400km testing range off the German coast, as the perfect, secret place to develop and test rockets.

페네뮌데는 발틱해로 표류해가는 페엔네강 어귀를 망보듯이 보고 있다. 1935년 베른헤어 폰 브라운이 그 마을을 정확하게 찾아냈는데, 그곳은 독일 영해 밖으로 400킬로미터까지 시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고, 로케트를 개발하고 시험하기에 완벽한 비밀의 장소였다.

Frantic building work began on the worlds largest and most modern rearmament centre. About 12,000 people worked on the first-ever cruise missiles and fully functioning large-scale rockets at the site, which spanned an area of 25 sq km.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arried out in Peenemünde was not only crucial to the course of the biggest war in history, but impacted the futur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s well as space travel.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현대적인 재무장 센터 건물을 짓는 정신 없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12,000명의 사람들이 사상 최초의 순항 미사일과 기지에서 완전하게 작동하는 거대한 크기의 로켓에 매달리고 있었으며, 이 시설들은 25 제곱 킬로미터의 지역에 걸쳐 있었다. 페네뮌데에서 진행한 연구개발은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전쟁의 행로를 정하는데 결정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우주여행과 대량살상무기의 미래에 영향을 끼쳤다.

Today, all that remains of the complex is an old red-brick power station that houses the Peenemünde Historical Technical Museum. When I visited, the solid, rectangular building with looming rusty chimneys and the model rockets scattered across the museum grounds created a chilling impression. But inside, the exhibits  from old documents to hunks of broken and bent metal rudders, rocket tails and turbo pumps  filled me with awe.

오늘날, 그 복합시설 중 남아있는 것들은 페네뮌데 역사 기술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래된 붉은색 벽돌 발전소이다. 내가 그곳을 방문했을 때, 어렴풋한 녹슨 굴뚝이 달려있는 견고하게 생긴 직사각형의 건물과 박물관 1층 여기저기에 흩뿌려져 있는 로켓 모형들은 으슬으슬 추운 인상을 줬다. 하지만, 안쪽에 있는 전시물들(오래된 문서로부터 부서지고 구부러진 금속 방향타 조각들, 로켓의 꼬리부분 및 터보 펌프에 이르기 까지)은 나에게 두려움을 안겨주었다.


Twelve thousand people once worked on large-scale rockets and the first ever cruise missiles at Peenemünde (Credit: robertharding/Alamy)

한때 약 12,000명의 사람들이 사상 최초의 순항 미사일과 거대한 크기의 로켓에 매달리고 있었다.

 

The ominous coupling of scientific enlightenment with dark intent was captured by the military leader of the rocket programme, Walter Dornberger. In a speech manuscript from 1942, Dornberger wrote that the recent successful launch of the Aggregat 4 (A-4) ‒ the world’s first long-range rocket, otherwise known as the V2, or ‘Vengeance weapon’ ‒ was “The engineer’s dream: to have developed a device which, as one of the most revolutionary inventions of recent ages, will give one’s own state military, economic and therefore political superiority.”

불순한 의도와 과학적인 깨우침의 불길한 결합은 로켓 프로그램의 군측 지도자였던 월터 도른베르거에 의해 파악되었다. 1942년 연설 원고에서도른베르거는 A-4(세계 최초의 장거리 로켓 혹은 V2 복수용 무기로 알려져 있다)의 성공적인 근래의 발사는 모국에 군사적경제적그리고 결국에는 정치적 우위를 안겨줄 현시대의 가장 혁명적인 발명 중 한가지를 개발하려는 엔지니어의 꿈이었다라고 적었다.

The world’s first long-range rocket, otherwise known as the ‘Vengeance weapon’ was the engineer’s dream

다른 말로는 복수용 무기로 알려져 있던 세계 최초의 장거리 로켓은 엔지니어의 꿈이었다.

But while the programme’s leaders, such as Dornberger and von Braun, as well as key figures from the Nazi regime, such as Albert Speer, who was responsible for the military buildings at Peenemünde, believed that rockets would be vital to winning the war, one person remained sceptical: Hitler.

하지만 페네뮌데에 있는 군용 건물을 책임지고 있는나치정권에서 온 주요 인물들뿐만 아니라 도른베르거와 폰 브라운과 같은 그 로켓 프로그램 리더들은 그 로켓이 전쟁에서 승리하는데 필수적 이라고 믿었지만한 사람만은 이에 대해 회의적이었는데그는 바로 히틀러였다.

Peenemünde was not completely finished when Hitler declared war in 1939. Thus began a struggle for priority, personnel and materials, following the rocket programme’s initial unlimited funding. It was only after Dornberger and von Braun presented a film of the successful A-4 launch to Hitler that he finally granted the weapon full approval.

페네뮌데는 히틀러가 1939년에 선전포고를 했을 때 완전히 완성되지 않았었다. 그래서 우선순위를 받아내고 인적 자원 및 필요한 자재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시작했고 로켓 프로그램에 최초로 무제한의 자금이 지원되었다. 히틀러가 이 무기에 대해 전폭적인 승인을 부여한 시점은 도른베르거와 폰 브라운이 히틀러에게 A-4의 성공적인 발사장면을 담은 화면을 보여준 이후였다.

By then the situation was desperate, and a new layer of history disturbed the site. In June 1943, 2,500 concentration camp prisoners were forced to help with the planned series production of the rocket. Preserved name lists show that these slave labourers mainly came from occupied France, Belgium and Netherlands. They worked under terrible conditions on weapons that would wreak terror and devastation on their homelands.

그때까지 상황은 절망적이었고 역사의 새 장이 그곳을 훼방 놓았다. 1943 6, 2,500명의 강제 수용소 죄수들이 계획된 일련의 로켓생산을 돕도록 동원되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인명부에서 이런 강제 노역자들은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점령지에서 끌려왔다는 걸 볼 수 있다. 그들은 끔찍한 환경하에서 자신의 고국에 두려움과 황폐화를 안겨줄 무기를 만드는 일을 했다.

Around 2,500 concentration camp prisoners were forced to build rockets that would devastate their homelands (Credit: alex havret/Alamy)

약 2,500명의 강제 수용소 죄수들이 자신의 고국을 황폐화시킬 로켓생산을 돕도록 동원되었다.

 

Around the same time, in summer 1943, British Intelligence realised the importance of Peenemünde. Reconnaissance flights and aerial photographs pointed to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German long-range weapons ‒ something that had to be stopped. On the night of 17 August, the Royal Airforce carried out Operation Hydra, the largest British action against a single target during WWII. Although the bombing was largely unsuccessful, it did delay production and force it to move underground to Mittelwerk in central Germany.

대략 비슷한 시점인 1943년 여름, 영국 정보 기관은 페네뮌데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정찰비행과 항공사진으로 독일이 장거리 무기를 개발하고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고, 이것은 막아내야만 했다. 8월 17일 밤, 영국공군은 2차 세계대전 중에 단일 목표물에 대한 작전 중 가장 규모가 컸던 히드라(Hydra) 작전을 수행했다. 폭격은 거의 성공적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폭격으로 인해 생산이 지연되고 이들 무기를 독일 중심부에 위치한 지하에 위치한 미텔베르크[1]로 옮기게 만들었다.

In 1944, Hitler realised his miscalculation and expressed his regret at not having approved the project sooner to Dornberger: “I have had to apologise only to two men in my whole life. The first was Field Marshal von Brauchitsch. I did not listen to him when he told me again and again how important your research was. The second man is yourself.”

1944년, 히틀러는 자신이 잘못 판단했음을 깨닫고 이 프로젝트를 도른베르거에게 더 빨리 승인해주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나는 내 인생에서 오직 두 사람에게만은 사과를 했어야 했다. 첫번째는 피엘트 마샬 폰 브라우히취였다. 나는 그가 나에게 당신의 연구가 얼마나 중요한지 반복해서 얘기했을 때 귀담아 듣지 않았다. 그리고 두번째는 바로 당신이다.”


[1] 역자주 : 영어로 표현하면 Central works이며, 2차 세계대전시 연합국의 폭격을 피하기 위해 독일이 지하에 만든 무기생산공장을 의미한다

 In 1944, Hitler expressed regret at having miscalculated the importance of using rockets to win the war (Credit: Paul Popper/Popperfoto/Getty Images)

1944년, 히틀러는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로켓을 사용하는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못 판단했음을 후회했다. 


But the end of the war did not spell the end of the work carried out at Peenemünde. After the war, the Allies sought to acquire the technology contained within the A-4/V-2, the first missile to launch a large warhead along a predetermined territory. German rocket scientists and engineers who worked for the Nazi regime were offered citizenship and jobs in the USSR, Great Britain, France and the US. Most famously, von Braun went on to live in the US and work for Nasa, where he developed the rockets that launched the Apollo-manned lunar landings. In addition to impacting the space race and guided missiles of the Cold Wa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erformed at Peenemünde informed all later developments in rocket engineering.

하지만 전쟁이 끝난다고 해서 페네뮌데에서 수행한 일이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전쟁이 끝나자연합국은 미리 정해진 구역을 따라가는 커다란 탄두를 쏘아 올린 최초의 미사일인 A-4/V-2에 탑재된 기술을 차지하려고 했다나치정권을 위해 일했던 독일 로켓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에게 소련영국프랑스미국에서의 시민권과 일자리가 제공되었다가장 유명하게는 폰 브라운은 미국을 택하고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일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였고거기서 그는 달에 착륙하는 유인우주선인 아폴로호를 발사했다냉전시기의 우주개발 경쟁과 유도미사일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페네뮌데에서 수행한 이 연구개발은 로켓 엔지니어링에서 벌어진 모든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Perhaps, however, the most important legacy of Peenemünde is the reflections it raises about the impact of technology, and the role of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in a wider context. Museum curator Dr Philipp Aumann told me, “Progress and innovation are a key aspect of modern societies, and we as a society have an influence on what gets researched and developed.”

하지만, 아마도 가장 중요한 페네뮌데의 유산은 기술의 영향력과 과학자와 엔지니어의 역할을 더 넓은 맥락에서 상승시켰다는 점이다. 박물관 큐레이터 필립 아우만 박사는 나에게 말했다. “발전과 혁신은 현대 사회의 중요한 측면인데, 사회적으로 우리는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는 것에 영향을 끼친다.”

Peenemünde reflects the darkest and most illuminating aspects of humanity

페네뮌데는 인류의 가장 어둡고 가장 빛나는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

As I moved through the site, with its multiple layers of history and complexities, I found myself becoming more enmeshed in its contradictions and questions. Peenemünde reflects the darkest and most illuminating aspects of humanity, making it relevant for all of us today.

나는 여러 역사와 복잡성으로 가득 차있는 그 공장 이곳 저곳을 지나가며 그 장소의 모순과 질문들에 휘말려 점점 곤란해지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페네뮌데는 오늘날의 우리 모두와 연관시키면서 가장 어둡고 가장 빛나는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Peenemünde’s continued relevance has inspired international artists such as Catalonian painter Gregorio Iglesias Mayo and Mexican-American print artist Miguel A Aragón to interact with the site. Mayo, who painted a 121ft x 40ft canvas in the museum’s courtyard, which captures the human dimension in relation to technical apparatus on a grand scale, has stated that Peenemünde is a “place where once there had also been a concentration camp, a place of research, creation, intelligence, weakness, contrasts, frustration, helplessness and the fight for the most rudimentary things.”

페네뮌데에 지속 되어온 관련성은 카탈루냐 화가인 그레고리오 이글레시아스 마요와 멕시코계 미국인 프린트 아티스트인 미구엘 에이 아라곤과 같은 국제적인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켜 이 장소와 교류하게 했다. 박물관의 앞마당에 36미터 x 12미터 캔버스 그림(거대한 규모로 기계장치에 관한 인간의 관점을 그려냈다)을 그린 마요는 페네뮌데가 강제수용소가 있었던 장소이면서 동시에 연구, 창조, 지성, 약함, 대조, 실망, 무기력함,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것들에 대한 투쟁의 장소라고 언급했다.

 

The research conducted at Peenemünde impacted the futur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space travel (Credit: Madhvi Ramani)

페네뮌데에서 수행한 이 연구는 대량살상무기와 우주여행의 미래에도 영향을 끼쳤다.

As well as using visual art as a way to process history, the museum hosts concerts by The Baltic Sea Philharmonic in the former turbine hall of the power station. The site, which once threatened to tear Europe apart, now brings together leading musicians from the region’s 10 countries. In 2002, the museum was awarded the Coventry Cross of Nails for its efforts towards reconciliation and peace.

이 박물관은 역사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시각예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예전 발전소의 터빈이 위치한 공간에서 발틱해 교향악단이 연주하는 콘서트를 개최한다한때 유럽을 찢어버리겠다고 협박하던 그 장소가 이제 그 지역의 10개국으로부터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음악인들을 같이 불러들이고 있다. 2002이 박물관은 화해와 평화에 대한 노력으로 Coventry Cross of Nails를 받았다.

Now, every time I visit sunny Usedom, Peenemünde attracts me to its many shades of light and grey.

이제 화창한 우제돔 섬을 방문할 때마다, 페네뮌데는 나를 매료시켜 빛과 회색으로 가득한 수많은 구석진 곳으로 데리고 간다.

* Please find original article in the following link(원본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bbc.com/travel/story/20170629-the-german-village-that-changed-the-war

Join over three million BBC Travel fans by liking us on Facebook, or follow us on Twitter and Instagram.

If you liked this story, sign up for the weekly bbc.com features newsletter called "If You Only Read 6 Things This Week". A handpicked selection of stories from BBC Future, Earth, Culture, Capital and Travel, delivered to your inbox every Friday.


posted by Simmani
:

The Latest: SKorean leader starts visit with Marine tribute

최신기사: 대한민국 대통령, 미 해병대에 경의를 표하며 일정을 시작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center, arrives to leave for the United States at the Seoul military airport in Seongnam, South Korea, Wednesday, June 28, 2017. Moon left for the United States for a summit meeting with his U.S. counterpart Donald Trump to discus the controversial U.S. missile defense system and North Korea’s nuclear issues. (Ahn Young-joon/Associated Press)

2017년 6월 28일,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중앙)이 미국으로 출국하기 위해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 모습. 문대통령은 미국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과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과 북한의 핵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상회담을 위해 출국했다.

 

WASHINGTON — The Latest on the U.S. visit of South Korea’s president (all times local):

워싱턴 — 대한민국 대통령의 미국 방문 최신뉴스(모든 시간은 현지기준)


5:00 p.m. 오후 5:00

South Korea’s president has begun a U.S. visit with an emotional tribute to Marines who fought in one of the fiercest battles of the Korean War that helped in the mass evacuation of Korean civilians, including his own parents.

대한민국 대통령은 자신의 부모님을 포함한 수많은 한국 민간인들이 피난할 수 있도록 도왔던, 한국전쟁에서 가장 치열했던 전투에 참가했던 해병들에게 감동을 주는 찬사를 표하며 미국 방문을 시작했다.


President Moon Jae-in (MOON JAAH IHN) laid a wreath at a Marines base in Quantico, Virginia. A monument there marks the 1950 Battle of Chosin Reservoir, when heavily outnumbered American forces bought time for about 100,000 Korean civilians to be shipped out to safety.

문재인 대통령은 버지니아주 콴티코에 위치한 해병 기지에 헌화했다. 그곳에 있는 기념비는, 수적으로 매우 열세였던 미군이 약 100,000명의 한국 민간인들을 안전한 장소로 수송할 수 있는 시간을 벌게 해주었던 시점인 1950년 장진호(長津湖)전투를 기념하고 있다.


Moon said that had it not been for their sacrifice, “my life would not have begun as it has and I would not be here today.” He was born in 1953 in South Korea.

문대통령은, 만약 그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지금과 같은 나의 삶도 시작되지 못했을 것이고 이자리에 나도 없었을 것이다" 라고 말했다. 그는 1953년에 한국에서 태어났다.


Moon’s four-day Washington visit culminates in his first meeting with President Donald Trump.

문대통령의 4일간의 워싱턴 방문 일정은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회동으로 막을 내린다.


____

3:00 p.m. 오후 3:00

South Korea’s new leader is coming to Washington on a visit aimed at reconciling differences with President Donald Trump.

대한민국의 새 대통령이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워싱턴으로 이동중이다.


President Moon Jae-in (MOON JAAH IHN) won election last month. He’s advocated a softer approach to North Korea and delaying U.S. plans for the full deployment of a missile defense system in South Korea.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에 치뤄진 대선에서 승리했다. 그는 북한에 대한 더 부드러운 접근과 대한민국에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전면배치하려는 미국의 계획을 연기하는 방안을 옹호해왔다.


His conservative predecessor — who’d taken a hard line on the North, like Trump — was impeached in a bribery scandal.

보수파였던 그의 전임 대통령(트럼프와 마찬가지로 북한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취했던)은 뇌물 스캔들로 탄핵 당했다.


Moon has long favored engaging North Korea despite the North’s rapidly advancing nuclear capability. The North’s rapid tempo of missile tests has continued on Moon’s watch.

급속하게 발전하는 북한의 핵무장 능력에도 불구하고, 문대통령은 오랫동안 북한과 교류하는 쪽을 선호해 왔다. 문대통령이 경계하는 와중에도 북한은 발빠르게 미사일 테스트와 관련된 행동을 지속해 왔다.


Moon’s first stop in Washington will be to honor Marines who fought in the Korean War. He meets Trump for dinner on Thursday night and for talks Friday.

문대통령의 워싱턴에서의 첫 방문지는 한국전쟁에 참가했던 해병대를 기리기 위한 장소가 될 것이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목요일 저녁에는 함께 만찬을 하고 금요일에는 회담을 갖는다.


Copyright 2017 The Associated Press.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 Please find original article at following link(원문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national-security/the-latest-skorean-leader-starts-visit-with-marine-tribute/2017/06/28/6ada1c98-5c48-11e7-aa69-3964a7d55207_story.html?utm_term=.f502c9f49978


posted by Simmani
:


As the sleek shinkansen bullet train glided noiselessly into the station, I watched a strange ritual begin. During the brief stop, the conductor in the last carriage began talking to himself. He proceeded to perform a series of tasks, commenting aloud on each one and vigorously gesticulating at various bits of the train all the while.

날씬한 신칸센 고속열차가 역 안으로 소리없이 미끄러져 들어 올때, 나는 이상한 의식이 시작되는 걸 봤다. 기차가 잠시 멈추는 동안, 제일 마지막 칸에 타고 있던 차장은 혼잣말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일련의 업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는데, 각각의 업무에 대해 크게 언급하면서 그 기차의 다양한 조그만 부분에다 계속해서 활발하게 몸짓으로 가리키고 있었다. 


Japanese train conductors practice shisa kanko, pointing at what they need to check and then naming it out (Credit: Credit: Trevor Mogg/Alamy)

Japanese train conductors practice shisa kanko, pointing at what they need to check and then naming it out loud (Credit: Trevor Mogg/Alamy)

일본 기차 차장들은 자신들의 확인해야할 것들을 가리키고 그것을 크게 언급하면서 시사칸코를 일상적으로 행한다.



So what was he up to? You could say he’s practicing mindfulness. The Japanese call it shisa kanko (literally ‘checking and calling’), an error-prevention drill that railway employees here have been using for more than 100 years. Conductors point at the things they need to check and then name them out loud as they do them, a dialogue with themselves to ensure nothing gets overlooked.

그러면 그 사람은 뭘 하고 있던것일까? 우리는 그가 유념하기를 실천하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사람들은 이것을 시사칸코(문자 그대로 '확인하며 외치기')라고 하는데, 일본의 철도 임직원들이 100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반복연습인 것이다. 차장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들을 가리키고 난 다음, 확인작업을 하면서 그 행동을 복창한다. 아무것도 간과하지 않게 하기위한 스스로와의 대화인 것이다.


And it seems to work. A 1994 study by Japan’s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cited in The Japan Times, showed that when asked to perform a simple task workers typically make 2.38 mistakes per 100 actions. When using shisa kanko, this number reduced to just 0.38 – a massive 85% drop.

그리고 이 행동은 효과가 있는것으로 보인다. 일본 타임즈(The Japan Times)에 실린 1994년 일본 철도 기술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간단한 업무를 하라고 요청 받았을때, 근로자들은 대개 100번의 행동 중 2.38번은 실수를 저지르는데, 만약 시사칸코를 적용 하면, 이 수치는 85%라는 엄청난 비율만큼 낮아져, 100번 중 단 0.38번만 실수하는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한다. 


Mindfulness is moment-to-moment awareness.

유념하기는 매 순간을  인지하는것이다.

This may seem a long way from mindfulness, which in recent years has become synonymous with what the Japanese call zazen – meditating cross-legged on a cushion.

이것은 유념하기와 관련이 없어 보일 수도 있는데, 유념하기는 최근 일본인들이 자젠(zazen, 방석위에 다리를 꼰채로 명상하기)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의미로 여겨져왔다.


 But according to Jon Kabat-Zinn, Professor of Medicine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where he founded its renowned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Clinic in 1979, mindfulness is “not really about sitting in the full lotus… pretending you’re a statue in the British Museum. Simply put, mindfulness is moment-to-moment awareness.”

하지만 메사추세츠 의과대학 명예교수인 존 카밧-진에 따르면(그는 1979년에 우리에게 잘 알려진 '유념하기에 근거한 스트레스 감소 클리닉'을 설립했다), 유념하기란, "마치 대영 박물관에 있는 동상인척 하며 가부좌를 하고 앉아있는 것과는 크게 관련이 있진 않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유념하기란 매순간을 인지하는 것이죠."  


And this present-moment awareness has been deeply ingrained into the Japanese psyche for centuries. You don’t hear people talk about it, but it manifests itself in myriad ways.

그리고 이러한 현재의 순간을 인식하는것은 일본인들의 마음에 수세기동안 깊이 스며들어있었다. 이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말하는 것을 들을 수는 없지만, 무수히 많은 방법으로 그것을 드러내고 있다.


In tea ceremony, participants take time to notice the design of the cup (Credit: Credit: Lonely Planet/Getty)

In tea ceremony, participants take time to notice the design of the cup (Credit: Lonely Planet/Getty)

다도에서, 참석자들은 천천히 컵의 디자인을 살펴본다. 



Tea ceremony, haiku and cherry-blossom viewing, for instance, all share a heightened appreciation of the moment. In tea ceremony, participants take time to notice the design of the cup before drinking and appreciate the decoration of the tea room, which reflects the foliage and blooms of the month. But beyond that, the ceremony celebrates the fact that this moment with this person in this place will never happen again.

예를 들자면, 다도, 하이쿠1), 벚꽃구경하기는 모두 고조된 그 순간의 감상을 공유하는 것이다. 다도에서는, 참석자들은 차를 마시기 전에 천천히컵의 디자인을 살펴보고 다실이 어떻게 꾸며져 있는지 감상하는데, 거기에는 그 달의 잎과 꽃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미 외에도, 다도는 이 사람과 함께 있는 이 순간은 다시는 오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기린다.

*역자주 : 1) 5ㆍ7ㆍ5의 3구(句) 17자(字)로 된 일본 특유의 단시(短詩)로서, 특정한 달이나 계절의 자연에 대한 시인의 인상을 묘사하는 서정시이다.


This moment with this person in this place will never happen again.

이 사람과 함께있는 이 순간은 다시는 오지 않을 것이다.

Haiku poetry, a Japanese literary tradition dating back to the 17th Century, elevated this celebration of the present moment to a world-renowned art form. Haiku poets attempt to capture the moment’s essence in just 17 syllables, using evocative images from nature to convey a Zen-like sense of sudden enlightenment.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일본 전통문화인 하이쿠는, 이러한 현재의 순간을 기리는 행동을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 형식으로 끌어올렸다. 하이쿠 시인들은 돈오(갑작스런 깨달음)라는 선과 비슷한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자연으로부터 무언가를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를 사용하며 17개의 음절속에 그 순간의 정수를 나타내려 한다.


The most famous one is Matsuo Basho’s frog haiku, which translated from Japanese reads:

An old pond
a frog jumps
the sound of water

가장 유명한 것은 마츠오 바쇼(Matsuo Basho)의 개구리 하이쿠인데, 다음과 같이 번역되었다.

오래된 연못

개구리가 뛴다

물의 그 소리


And nowhere is this celebration of the moment more evident than in cherry-blossom viewing, which sweeps the nation like a fever every spring. Why such excitement? Precisely because the blossoms are so fleeting, lasting only a week or so. “Transience forms the Japanese sense of beauty,” said Zen priest and garden designer Shunmyo Masuno.

그리고 이러한 그 당시의 순간을 기리는것이 가장 명백하게 드러나는 곳은 매년 일본을 열병처럼 강타하는 벚꽃구경하기이다. 왜 그렇게 열광하는가? 정확하게는 꽃들이 엄청나게 날아다니고 단 1주일 정도만 볼수 있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것은 일본의 미적 감각을 형성하죠." 선승이자 정원 디자이너인 슌묘 마스노(Shunmyo Masuno)는 이렇게 말했다.


Nowhere is this celebration of the moment more evident than in cherry-blossom viewing (Credit: Angeles Marin Cabello)

Nowhere is this celebration of the moment more evident than in cherry-blossom viewing (Credit: Angeles Marin Cabello)

그 당시의 순간을 기리는것이 가장 명백하게 드러나는 곳은 벚꽃구경하기이다.


Transience is celebrated in dozens of lesser-known practices too, such as moon viewing. You can’t help but admire a country that sets aside a special evening in September for contemplating the full moon. Or that holds lavish festivals to give thanks for the work done by inanimate objects, including everything from old kitchen knives to calligraphy brushes and even used sewing needles.

일시적이라는 것은 달 구경하기와 같이 잘 알려지지 않은 수십가지의 관습에서도 나타난다. 보름달을 기대하며 9월의 특별한 하룻밤을 따로 잡아 놓는 이 나라, 또한 오래된 부엌 식칼부터 붓에 이르는 모든 물품, 심지어 사용한 바느질 바늘까지 포함하여, 무생물이 이뤄놓은 결과물에 감사인사를 전하기 위하여 풍성한 축제를 여는 이 나라를 감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Transience forms the Japanese sense of beauty.

일시적인것은 일본의 미적 감각을 형성한다.

And there are the growing ranks of Moss Girls. Inspired in part by Hisako Fujii’s best-selling book, Mosses, My Dear Friends, moss-viewing has become increasingly trendy, especially with young women, who go on guided tours to Japan’s lush moss-carpeted forests. This goes way beyond just stopping to smell the roses: Moss Girls get down on hands and knees with a loupe to contemplate the lovely lichens.

그리고 모스 걸(이끼를 좋아하는 여자아이들) 회원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히사코 후지이의 베스트셀러인 '이끼, 내 친애하는 벗'에서 일부 영감을 받아서, 이끼 구경하기는 특히 젊은 여성들 사이에 점점 더 유행이 되어가고 있는데, 이들은 이끼가 깔려있는 우거진 숲에서 진행하는 가이드 투어에 참가한다. 이는 장미꽃 향기를 맡기 위해 잠깐 멈추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즉, 모스 걸들은 사랑스러운 이끼들을 바라보기 위해 소형 확대경을 갖고 바닥에 손과 무릎을 대고 앉는 것이다. 


And while to the less mindful among us moss may seem insignificantly small, no Zen garden is complete without its moss-covered rock or stone lanterns. It’s the living embodiment of wabi-sabi – the spirit of humble, rustic impermanence that defines Japanese aesthetics.

그리고 우리들 중 그리 신경을 쓰지 않는 사람들에게 이끼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정도로 작을 지도 모르지만, 그 어떤 선 정원도 이끼가 덮힌 바위나 석등이 없다면 완전하지가 않다. 이것은 와비-사비(일본의 미학을 정의하는 소박하고 투박한 일시성의 정신)의 살아있는 전형인 것이다.


But there’s more to Japanese mindfulness than gazing at bugs and blooms. Countless practical applications govern virtually every aspect of daily life, all designed to help you ‘be in the now’. At school, days begin and end with a short ceremony, where greetings are exchanged and the day’s events are announced. Before and after each class, students and teacher stand, bow and thank each other. And before starting the lesson, students are asked to close their eyes to focus their concentration.

하지만 일본의 유념하기에는 단지 꽃과 곤충들을 바라보는것만 있는 건 아니다. 모두 당신이 '현재에 존재하도록' 돕는 수많은 실용적인 응용이 일상의 모든 면을 사실상 지배한다. 학교에서는, 짤막한 의식(인사를 교환하고 그날 있을 이벤트를 말해주는) 으로 하루가 시작하고 끝이난다. 각 수업의 전후로, 학생과 교사는 서서 허리를 숙이고 감사의 인사를 나눈다. 그리고 수업 시작전, 학생들은 정신집중에 전념하기 위해 눈을 감아야 한다.


Zen gardens embody wabi-sabi, the spirit of humble, rustic impermanence (Credit: Angeles Marin Cabello)

Zen gardens embody wabi-sabi, the spirit of humble, rustic impermanence (Credit: Angeles Marin Cabello) 

선 정원은 소박하고 투박한 일시성을 나타내는, 와비-사비를 보여준다.


Similarly, construction workers engage in collective stretches to limber up for the day’s work. In the office, a colleague will tell you 'Otsukaresama', (literally ‘you’re tired’), as a way of saying thanks for the work you’ve done. At meetings, hand someone your meishi (business card) and they'll examine it carefully and make a comment, never dreaming of just sticking it in their pocket.

마찬가지로, 건설현장의 노동자들은 하루를 시작하기 전 준비운동을 하기 위해 함께모여 스트레칭을 한다. 사무실에서, 주위의 동료는 당신이 해낸 일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당신에게 '오츠카레사마'(문자그대로 해석하면 '피곤한 사람')라고 말할 것이다. 미팅을 할 때면, 누군가에게 당신의 메이시(명함)을 건내줘보라. 그러면 상대방은 그것을 자신의 주머니에 넣어 둘 생각은 절대 하지 않으며, 그 명함을 주의깊게 살펴보고 명함의 내용에 대해 뭐라고 말을 건낼 것이다.


These practices are a way of what Kabat-Zinn calls ‘purposefully paying attention to things we ordinarily never give a moment’s thought to’. They help keep you conscious of where you are and what you are doing throughout the day, rather than stumbling from one hour to the next on autopilot, focused only on going-home time.

이러한 관습들은 카밧진씨가 말한 '보통 우리가 절대 잠깐이라도 생각할 시간을 들이지 않는 것들에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기'의 한 방식이다. 그것들은 당신이 집에갈 시간만 바라보면서 휘청거리도록 하기 보다는, 당신이 어디에서 존재하고 있고 하루종일 뭘 하고 있는지를 계속해서 인식하도록 돕는다.


Like so much of Japanese culture, the roots of all these customs lie in Zen. “Mindfulness has been part of the Buddhist tradition for centuries,” said Takafumi Kawakami, priest at Kyoto’s Shunko-in temple. In the Kamakura Era (1185-1333), Zen became popular among the samurai class and had a formative influence on the arts, including tea ceremony, flower-arranging and landscape gardening. In the Edo Era (1603-1868), a time of peace, Zen found its way into the education of common people.

일본 문화의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모든 관습들은 선에 기초하고 있다. "유념하기는 수세기동안 불교신자들의 전통중 일부였습니다." 교토에 있는 슌코인사의 승려인 타카푸미 카와카미(Takafumi Kawakami)가 이렇게 말했다. 카마쿠라 시대(1185-1333)에, 선은 사무라이 계급 사이에 인기를 끌었고 다도, 꽃꽃이, 그리고 조경에 이르는 예술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평화의 시절이었던 에도 시대(1603-1868)에, 선은 보통 사람들의 교육에 주력하였다.


For its practitioners, Zen is an attitude that permeates every action (Credit: Shinshoji Zen Museum and Gardens)

For its practitioners, Zen is an attitude that permeates every action (Credit: Shinshoji Zen Museum and Gardens) 

수행자들에게, 선은 모든 행동에 스며드는 태도이다. 


For its practitioners, Zen is an attitude that permeates every action: bathing, cooking, cleaning, working. “Every activity and behaviour in daily life is a practice [of Zen],” said Eriko Kuwagaki of Shinshoji Temple in Fukuyama, Hiroshima Prefecture.

수행자들에게, 선은 목욕, 요리, 청소, 업무와 같은 모든 행동에 스며드는 태도이다. "일상 생활에서의 모든 행동과 태도는 선을 실천하는 것입니다."라고 히로시마의 후쿠야마에 위치한 신쇼지사의 에리코 쿠와가키(Eriko Kuwagaki)는 말했다.


A delightful old Zen story, collected in Paul Reps’ 1957 anthology of Zen texts, Zen Flesh, Zen Bones, illustrates this point. After studying to be a Zen teacher for many years, Teno went to visit Nan-in, an old Zen master. It was raining heavily and, as is customary, Teno left his clogs and umbrella in the entrance before entering Nan-in’s house.

폴 렙스(Paul Reps)가 1957년 출판한 선과 관련된 문집인, 선의 살과 뼈라는 책에 소개된 기분좋은 오래된 선 이야기는 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선을 가르키는 사람이 되기 위해 수년간 공부한 후, 테노(Teno)는 유서깊은 선사인 난인(Nan-in)을 만나러 갔다. 심하게 비가 내리고 있었는데, 테노는 난인의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나막신과 우산을 습관적으로 입구에 놓아두었다.


Every activity and behaviour in daily life is a practice [of Zen]. 

일상생활에서의 모든 행동과 태도는 선을 실천하는 것이다.

After greeting each other, Nan-in asked Teno: “Did you leave your umbrella to the left or right of your clogs?” Unable to answer, Teno realised he was still a long way from attaining Zen, and went away to study for six more years. 

서로 인사한 후, 난인은 테노에게 물었다. "우산을 나막신의 오른쪽에 두었느냐, 아니면 왼쪽에 두었느냐?" 이 질문에 답할수가 없자, 테노는 아직도 자신이 선을 이룩하기에는 한참 멀었다는 것을 깨닫고는 길을 떠나 6년 동안 더 공부했다.


Most of us might not want to take things quite so far. Nevertheless, Nan-in’s question remains relevant, as more and more researchers are discovering that present-moment awareness not only boosts stress resilience and well-being, but also lowers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우리들 대부분은 그렇게까지 이것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연구에서 현재의 순간을 인식하는 것이 스트레스 탄력성과 행복을 북돋아 줄 뿐만 아니라 걱정과 우울감의 수준을 낮춰준다는 점이 나타나고 있기때문에, 난인의 이 질문은 연관성이 있다.


Leah Weiss, a senior teacher at Stanford University’s Compassion Cultivation Program, is one of a growing number of experts who advocate ‘mindfulness in action’. This is something to be practiced throughout the day, rather than just for 10 minutes’ meditation. Weiss described it as “becoming mindfully aware of your thoughts, feelings, and surroundings even while you’re engaged in some other activity.”

스텐포드 대학교 자비함양 프로그램에서 선임 교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레아 웨이스(Leah Weiss)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행동에 유념하기'를 지지하는 전문가들 중 한명이다. 이것은 단지 10분동안 명상을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하루 내내 실행해야 하는 것이다. 웨이스씨는 이것을 "심지어 다른 행동을 하고 있는 도중이라도 자신의 생각, 느낌, 그리고 주위환경을 신경써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Even moss is appreciated by the mindful Japanese (Credit: Andrew Whitehead/Alamy)

Even moss is appreciated by the mindful Japanese (Credit: Andrew Whitehead/Alamy) 

이끼조차도 유념하는 일본인들에게는 환영받는 존재이다.


So how can we put a little more mindfulness into our lives? Start with something simple, like a bit of pointing and calling before you leave home in the morning. Lights off? Check. Windows closed? Check. Money? Check. Phone? Check. You’ll never forget your keys again.

그러면 어떻게 우리가 우리의 삶 속에서 유념하기를 더 실천 할 수 있을까? 아침에 집에서 나올때 지적하고 말하기와 같이 간단한 것부터 시작해 보아라. 불껐나? 확인. 창문 닫았나? 확인. 돈은? 확인. 핸드폰? 확인. 다시는 열쇠를 잊어버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Then maybe you’ll have time to stop and notice the moss.

게다가 아마도 당신은 잠깐 멈춰서 이끼를 알아볼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른다.


*Please find original article at following link(원문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bbc.com/travel/story/20170504-the-japanese-skill-copied-by-the-world


Join over three million BBC Travel fans by liking us on Facebook, or follow us on Twitter and Instagram.

If you liked this story, sign up for the weekly bbc.com features newsletter called "If You Only Read 6 Things This Week". A handpicked selection of stories from BBC Future, Earth, Culture, Capital and Travel, delivered to your inbox every Friday.


posted by Simmani
:

Spanish workers put in more hours than any in Europe despite their laid-back stereotype, but there are some who fear it could be a mistake to abandon the siesta completely.

스페인 노동자들은 느긋하다는 편견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유럽의 어느 누구보다도  오랫동안 일하지만, 시에스타 완전히 금지하는것이 실수가   있다고 우려하는 사람들이 있다.




In the small town of Ador, near Valencia, the siesta is sacred. So sacred, in fact, that in 2015 its mayor enshrined its citizens’ right to the afternoon nap in law.

발렌시아 근방의 아도르(Ador)라는 작은 도시에서는 시에스타(siesta, 낮잠)는 신성한 것이다. 사실 너무 신성시 된 나머지 2015년, 시장은 시민의 오후에 낮잠자는 권리를 법에 명시하였다.


Everything in the town closes between 2pm and 5pm, while all noise must be kept to a minimum. Parents are encouraged to keep their children indoors and ball games are strictly off the agenda while the town’s inhabitants get their forty winks.

도시 전체가 오후 2시에서 5시 사이에는 문을 닫으며, 모든 소음은 최소한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부모들은 아이들을 실내에 머물게 하도록 권고받으며 구기종목은 도시 주민들이 잠시 눈을 부치는 동안에는 엄격하게 금지된다.


But while Ador is embracing the tradition of siesta , elsewhere in Spain it seems the days may be numbered for one of the country’s most enduring stereotypes. The siesta is now as alien to most Spaniards as it is to the foreigners who package it into their image of Spain.

하지만 아도르가 시에스타의 전통을 받아들이고 있는 동안, 스페인의 다른 지역에서는 이런 시절들은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 있는 편견중 하나로 여겨질 것으로 보인다. 시에스타를 스페인의 이미지로 포장한 것은 외국인들이기 때문에, 이제 이 시에스타는 대부분의 스페인사람들에게는 낯설다.


(Credit: Getty Images)

A tired stereotype: almost 60% of Spaniards never have a siesta, and research shows Spaniards put in more work hours each year than Brits and Germans (Credit: Getty Images)

지겨운 편견: 거의 60%의 스페인 사람들은 시에스타를 해본적이 없고,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페인 사람들은 매년 영국이나 독일 사람들보다 더 오래 일한다고 한다. 


Almost 60% of Spaniards never have a siesta, while just 18% will sometimes have a midday nap,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In fact, the Spanish spend far more time working than many of their counterparts in Europe. According to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paniards rack up 1,691 hours at work each year while British workers do 1,674 annually and the Germans work just 1,371 hours a year.

최근 조사에 따르면, 거의 60%의 스페인사람들은 시에스타를 해 본 적이 없고, 단지 18%의 사람들은 하루의 중간쯤에 가끔 낮잠을 잔다고 한다. 사실, 스페인은 유럽의 다른 대부분 국가들 보다 더 오래 일한다. OECD에 의하면, 매년 영국인은 1,674시간, 독일인은 단지 1,371시간만 일하는 반면, 스페인사람들은 1,691시간 동안 일하고 있다. 


So what has led a nation famous in part for its supposedly casual attitude to labour to become one of the hardest working in Europe?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점이 짐작하건데 노동에 대해 너그러운 태도로 어느 정도는 유명한 이 나라를 유럽에서 가장 열심히 일하는 나라 중 한 곳으로 만들었을까?


A surprising import

놀라운 문화의 수입


Before tackling this question, it is perhaps worth pausing to consider that the siesta does not originally come from Spain at all - it is from Italy.

이 질문에 시비를 걸기 전에, 잠시 논의를 멈추고 시에스타가 원래부터 스페인에서 유래된게 아니라는 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같다. 시에스타는 원래 이태리에서 시작된 것이다.


“The word siesta comes from the Latin sexta,” explains Juan José Ortega, vice president of the Spanish Society of Sleep and a somnologist - an expert in sleep medicine.  “The Romans stopped to eat and rest at the sixth hour of the day. If we bear in mind that they divided periods of light into 12 hours, then the sixth hour corresponds in Spain to the period between 1pm (in winter) and 3pm (in summer).”

"시에스타라는 단어는 라틴어 sexta에서 유래되었죠." 스페인 수면학회 부회장이자 수면의학분야 전문가인 주안 호세 오르테가는 이렇게 설명한다. "로마인들은 낮의 6번째 시간에 음식 섭취를 멈추고 쉬었어요. 그들이 빛이 있는 기간을 12시간으로 나눈 것을 감안해 본다면, 스페인에서 낮의 6번째 시간은 오후1시(겨울)와 3시(여름) 사이의 시간에 해당하죠."



It was Spain’s peculiar historical working hours that gave Spaniards the opportunity to fit the infamous nap into their day

스페인 사람들에게 이 악명높은 선잠을 낮시간의 범주에 넣을 기회를 준것은 스페인의 역사적으로 독특한 근무시간이었다.

From its Roman origins, the siesta became a cross cultural phenomenon, but it was Spain’s peculiar historical working hours that gave Spaniards, perhaps more so than most, the opportunity to fit the infamous nap into their day.

로마시대부터 시작된 시에스타는 언짢은 문화적 현상이 되었지만, 아마도 스페인사람들에게 더욱 더 이 악명높은 선잠을 낮시간의 범주에 넣을 기회를 준것은 바로 스페인의 역사적으로 독특한 근무시간이었다.


(Credit: Getty Images)

While people in some professions can still find time for forty winks midday, modern city jobs in Spain mean the siesta has largely been abandoned (Credit: Getty Images)

어떤 직종의 사람들은 한낮에 잠시 눈을 붙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스페인에서 현대적인 도시일이라는 의미는 시에스타가 대부분 사라졌다는 걸 말한다.


Traditionally, the Spanish working day was split into two distinct parts: people would work from 9am until 2pm, stop for a two hour lunch break and return to work from 4pm until around 8pm. This disjointed day came about because in post Civil War Spain, many people worked two jobs to support their families, one in the morning and one in the late afternoon. The two hour break allowed workers, especially those in rural areas, time to rest or travel after the first job ended.

전통적으로 보면, 스페인사람들의 일하는 시간은 두 부분으로 뚜렷하게 나뉜다. 사람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까지 일하고, 두 시간동안 점심시간을 가진 다음, 오후 4시부터 대략 8시까지 다시 일한다. 이러한 분절된 시간은 스페인 내전 이후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두가지 일을(하나는 오전에 다른 하나는 오후에) 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이 두시간 동안의 휴식시간을 노동자들, 특히 시골지역에 있는 노동자들은 푹 쉬거나 첫번째 일이 끝난 후 이동하는 시간으로 사용했다.


Then between the early 1950s and early 1980s, Spain experienced unprecedented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its cities, where the majority of its citizens now work. Here, few people have a siesta, but the long working day appears to have remained ingrained in the culture.

그 이후 1950년 초와 1980년 초반 사이에 스페인에서는, 시골지역으로부터, 현재 대부분의 시민들이 일하고 있는 도시지역으로 전래없는 이주가 시작되었다. 여기서, 사람들은 거의 시에스타를 갖지 않았지만, 장시간의 노동시간은 문화속에 녹아든채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ismo trap

프레젠티즈모의 함정


Spain’s evidently longer working hours do not equal more productivity. Instead, many Spanish businesses are afflicted by presentismo, or presenteeism.

명백하게 더 길어진 스페인의 노동시간이 더 높은 생산성을 의미하는건 아니었다. 그 대신, 많은 스페인 사업은 프레젠티즈모 (presentismo), 즉 보여주기식 장시간근로에 의한 피해를 입었다.


Presentismo is spending hours more than you really need to at work in order to seem more serious and committed to your organisation,” said Marc Grau, a research fellow at the Harvard Kennedy School and an expert in work-life balance. “It is particularly prevalent in Spain due to the old mentality in traditional companies of more hours equals more work, and long working hours because of the long lunch break in many companies.

하버드 케네디 스쿨 리서치 펠로이자 일-생활 균형 전문가인 마크 그라우(Marc Grau)는 "프레젠티즈모는 자신이 속한 조직에 더 진지하고 더 헌신적인것 처럼 보이기 위해 실제 필요한 것보다 더 오랜시간동안 일하는 것이죠."라고 말했다. "더 오랜 시간을 보내는것이 더 오래 일하는 것과 같은 의미였던 전통적인 기업들에서의 낡은 사고방식 때문에 이 현상은 스페인에서 특히 유행하였고, 많은 기업에서 긴 노동 시간의 유행은 긴 점심시간 때문이었습니다."


Presentismo may seem good in the short term but it is tremendously pervasive in the long term. It can affect motivation, job performance, work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it obviously has an effect on family life.”

"프레젠티즈모는 단기간에 좋을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엄청나게 나쁜결과를 낳습니다. 동기부여, 직무 성과, 업무 만족도,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나아가 가족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게 확실하죠."


A deep-seated fear of losing their jobs has left many employees spending even more time at their desks

직장을 잃을 수도 있다는 깊숙이 자리잡은 공포가 많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책상에서 더욱더 많은 시간을 투입하도록 내몰았다.

While presentismo has been an issue in Spain for decades, it has become especially prevalent since the most recent global economic crisis hit the country.

프레젠티즈모가 수십년동안 스페인에서 논란이 되어왔지만, 특히 글로벌 경제 위기가 스페인을 덮친 이후, 이는 더욱 일상화 되었다.


In the wake of recession, in 2013, Spain’s unemployment rose to 27%, while in the same year youth unemployment reached a record 56.1%.

경기불황에 뒤이어, 2013년에 스페인의 실업률은 27%로 치솟았고, 같은해 청년 실업률은 기록적인 56.1%에 달했다.


The unemployment rate has dropped since then, but was 18.8% for the first quarter of 2017, still the second highest in the European Union after Greece. A deep-seated fear of losing their jobs has left many Spanish employees spending even more time at their desks.

실업률은 그 이후 낮아졌지만, 2017년 1분기에는 18.8%였고, 여전히 유럽연합중에 그리스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직장을 잃을수도 있다는 깊숙히 자리잡은 공포가 많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책상에서 더욱더 많은 시간을 투입하도록 내몰았다.


The fear of losing their jobs has also made Spanish workers far more sceptical of using flexible working policies, says Grau. The fear is perhaps stronger in Spain than other countries because of the severe effect the economic crisis had on the country combined with its historic tendency towards presentismo.

직장을 잃는 공포는 또한 스페인 노동자들이 유연근무 정책을 사용하기를 꺼려하게 만들었다고 그라우는 말했다. 경제위기가 스페인에 끼친 심각한 영향 때문에 이러한 공포심은 프레젠티즈모에 대한 역사적인 성향과 합쳐져서, 다른 어떤 국가들 보다 아마도 스페인에서 더 강할것이다.


“During the economic crisis there were abuses in work schedules, the fear of losing your job was very strong,” agrees Susana Pascual García, an environmental scientist at ACEFAT, a small business in Barcelona managing public infrastructure projects..

"경제위기를 겪고 있던 기간에는 직장을 잃을 공포심이 매우 강했기 때문에 근무 스케줄을 악용하는 사례도 있었어요." 바르셀로나에서 인프라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는 소기업인 ACEFAT에서 환경 과학자로 일하고 있는, 수잔나 파스쿠알 가르시아(Susana Pascual Garcia)는 이 의견에 동의 한다.


(Credit: Getty Images)

Working later into the night - or presentismo - has become particularly prevalent in Spain following the most recent financial crisis (Credit: Getty Images)

밤늦게까지 일하는 것(혹은 프레젠티즈모)은 가장 최근의 재정 위기를 뒤따르며 스페인에서 특히 유행했다.


Her firm is one of an growing number of Spanish companies encouraging their employees to embrace a more flexible working culture and making a concerted effort to move away from the old culture of presentismo.

그녀가 다니는 회사는 직원들에게 더 유연한 근무 문화를 수용하도록 독려하고 낡은 프레젠티즈모 문화로 부터 벗어나기 위해 힘을 합쳐 노력하는 스페인 회사중 한곳이고, 이런 회사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According to a 2015 study by management software company Sage, 80%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Spain are in favour of implementing measures that would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for workers.

관리소프트웨어 회사인 Sage가 2015년에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스페인에 있는 80%의 중소기업이 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을 개선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싶어한다고 한다.


“Turning off the lights at a predetermined time or not organising meetings from a certain time onwards are helping to change the situation,” says García.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무실을 소등하거나 특정 시간 이후에는 미팅을 잡지 않는것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라고 가르시아는 말한다.


Another company offering flexible working to its 100-plus employees is Tecalum, which produces aluminium parts in Girona, north eastern Spain.

100명 이상의 직원에게 유연근무제를 허용하고 있는 테칼룸(Tecalum)이라는 또 다른 회사가 있다. 북동부 스페인 지역인 기로나(Girona)지역에 위치한, 알루미늄 부품을 생산하는 곳이다.


“Many Spaniards spend too much time in the office, but in our case, if you compare it with the past, things have changed a lot,” says Maria Reig, head of Human Resources at the company. When Tecalum offered workers a two-hour break in the middle of the day, they instead requested  an hour’s break at midday and to finish the day an hour earlier, so they could get home.

"많은 스페인사람들은 사무실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지만, 저희는 과거와 비교하면 많이 바뀌었습니다." 회사 인사팀장인 마리아 라이그(Maria Reig)는 설명한다. 테칼룸사는 직원들에게 하루에 2시간 쉬는 시간을 갖도록 제안하였고, 직원들은 그 대신 중간에 한시간을 쉬고 한시간 업무를 일찍 끝내달라고 해서 집에 갈 수 있다.


Tecalum also offers its staff a flexible starting time each day. This approach has had a major impact on the lives of the people who work there.

테칼룸사는 또한 직원들에게 매일 업무 시작 시간을 달리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접근법은 직원들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A lot has changed in our case - there is usually no one left in the office at 6pm,” says Reig. “Giving workers more flexible hours makes them feel more satisfied and their productivity increases.”

"저희의 경우 많은것이 바뀌었죠. 오후 6시가 되면 사무실에 대게 아무도 남아있지 않아요." 라이그는 이렇게 말한다. "직원들에게 더 유연한 시간을 제공하는것은 그들이 스스로 더 만족하게 하고 생산성은 증가합니다." 


In 2016 the Spanish government even tried to take steps to shorten the working day by up to two hours by putting an end to long lunch breaks.

2016년, 스페인 정부는 장시간의 점심시간 휴식을 종식시키면서 근무시간을 두시간 까지 감소시키는 조치를 취하려 하기도 했다.


Power naps

강한 낮잠


Some experts believe the traditional siesta may still have a place in the modern working world, especially when so many of us are apparently already sleep-deprived.

어떤 전문가들은 예전의 시에스타가 여전히 현대 근로 세계에 적합할 수 있다고 믿고있다. 특히 우리들 대부분이 분명히 이미 잠이 부족한 상황일때는 그렇다.


A recent survey by the Flex Sleep Research Centre showed the average amount of sleep people get per night in Spain is 7.1 hours a night.

최근 플렉스 수면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에서 잠을 자는 사람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하루밤에 7.1시간으로 나타났다.


 While this is more sleep than people get i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where people sleep, on average, 6.8 hours a night) it’s still almost an hour shy of the eight hours recommended by experts and similar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like the UK, where 70% of people sleep seven hours or less. 

이것이 미국(매일밤 평균 6.8시간 수면)을 포함하고 있는 국가에 사는 사람들보다는 잠을 더 자는 것인 반면, 여전히 전문가들이 제안하는 8시간에서 거의 1시간 부족하고, 70%의 사람들이 7시간이나 그보다 적게 잠을 자는 영국같은 선진국과는 비슷하다.


(Credit: Hotels.com)

Hotels.com trialled sleep pods in Madrid’s Atocha train station in early 2017. The initiative ran under the slogan "save our siesta" (Credit: Hotels.com)

2017년 초, 호텔스 닷컴이 마드리드 아토차 역에 수면캡슐을 시험적으로 운영했다. 이 계획은 "우리의 시에스타를 구하자"라는 구호아래 운영되었다. 


Spaniards’ sleeping habits may be partly explained by the fact that General Francisco Franco moved the country’s clocks forward an hour in solidarity with Nazi German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ome experts believe returning the nation to its former time zone would go some way to addressing the issue of sleep deprivation among Spaniards.

스페인사람들의 수면 습관은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2차 세계대전중 나치 독일과 견고한 관계를 맺으며 스페인의 시간대를 한시간 앞당겼다는 점에서 부분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기존의 시간대로 되돌아가는 것이 스페인사람들 사이에서 수면 부족의 문제를 나타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믿고있다.  


The Spanish also go to sleep later than their European neighbours. According to Eurostat, Spaniards go to bed, on average, at midnight, compared to Germans at 10pm, the French at 10.30pm and Italians at 11pm.

또한 스페인 사람들은 유럽 주변국 사람들보다 더 늦게 잠이 든다. 유럽연합통계청에 따르면, 독일인들은 저녁 10시, 프랑스인들은 10시30분, 이태리인들은 11시에 잠을 자는데 반해, 스페인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자정에 잠을 잔다.


“As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a pronounced deficit of sleep with respect to our ancestors - around 1.2 or 1.3 hours compared with our grandparents,” says Ortega, who also works at the European Sleep Research Laboratories at the General University Hospital of Castellon. He believes there may still be a place for the siesta in Spain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다른 선진국에서처럼, 우리 선조들에게는 잠이 확연하게 부족했습니다. 저희 조부모님 세대 보다 약 1.2 ~ 1.3시간 정도 부족했죠."라고 카스텔론(Castellon)대학 종합병원의 유럽 수면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오르테가는 말한다. 그는 스페인과 세계 다른 나라에서 시에스타가 적합한 곳이 있을 거라고 믿고있다. 


“A brief siesta helps us to alleviate stress, strengthens the immune system and improves performance,” he said.

"짧은 시에스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면역체계를 강화하며 성과를 향상시키죠." 그는 말했다.


If the siesta is to survive into the 21st century, it will perhaps have to become more compatible with office work in big cities

만일 시에스타가 21세기에 들어서도 살아남으려 한다면, 대도시에서 사무직과 더 잘 맞을 수 있게 되어야 할 것이다.

But if the siesta is to survive into the 21st century, it will perhaps have to become more compatible with office work culture in big cities. Some companies are already thinking of new ways for Spaniards to enjoy a snooze without it interfering with their busy work schedules.

하지만 만일 시에스타가 21세기에 들어서도 살아남으려면, 대도시에서 사무직과 더 잘 맞을수 있게 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 어떤 회사들은 스페인 사람들이 빡빡한 회사의 근무 일정을 조정 하지 않고 낮잠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고 있다.


21st Century siesta

21세기 시에스타


Sleep pods were trialled in Madrid’s Atocha train station in early 2017, offering busy office workers the chance to grab 40 winks during their lunch breaks. The initiative, run by online booking website Hotels.com, ran under the slogan “‘save our siesta”’.

2017년 초 마드리드 아도차 역에 수면캡슐이 시범적으로 운영되었는데, 바쁜 사무직 근로자들에게 점심시간중에 잠시 눈을 부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온라인 호텔예약사이트인 호텔스닷컴이 "우리의 시에스타를 구하자"라는 구호아래 운영했다.


The trial proved popular with Madrileños, who snapped up the chance of a quick rest during the busy work day.

이 시도는 마드리드사람들에게 인기를 끌었는데, 그들은 바쁜 근무기간 중에 짧은 휴식 기회를 덥썩 활용했던 것이다. 


If the siesta can help improve productivity, perhaps it should be redesigned for modern life - Santi Perez Olano

만일 시에스타가 생산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면, 현대의 생활에 맞게 재구성되어야 한다. - 산티 페레즈 올라노

“As a Spaniard, I’ve always known that the siesta is an important part of our culture,” says Santi Perez Olano, senior marketing manager at Hotels.com  “There are countless studies that show that around 20-30 minutes of daytime sleep can contribute to a decrease in fatigue and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스페인 사람으로서, 저는 시에스타가 우리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항상 알고 있었어요." 호텔스닷컴 선임 마케팅 메니저인 산티 페레즈 올라노는 말한다. "약20-30분정도 낮에 잠을 자는 것은 피로 감소와 집중력 중가에 도움이 된다는 수많은 연구가 있어요."


 “If the siesta can help improve productivity, perhaps it should be redesigned for modern life.”

"만일 시에스타가 생산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면, 현대의 생활에 맞게 재구성되어야 하겠죠."


Some people are integrating the benefits of a siesta into modern life by using technology. SiestAPP, launched in 2014 by Spanish developers, is one of many sleep-optimisation apps promising to help users replicate the Spanish siesta by measuring their sleep patterns, then waking them just when they are likely to be the most refreshed and revitalised.

어떤 사람들은 신기술을 사용해서 현대의 생활속으로 시에스타의 장점을 접목시키고 있다. 스페인 개발자에 의해 2014년에 탄생한 SiestAPP은 수면 패턴을 측정한 후 가장 상쾌해지고 활력을 되찾았을 때 잠을 깨워줘서, 스페인의 시에스타를 흉내내도록 도와주는 수면 최적화 앱들 가운데 하나이다.


“The siesta should not be incompatible with today’s working life, even in the workplace,” says Juan José Ortega. “If employees can have a coffee or a smoke, then why not a nap?”

"시에스타는 오늘날의 근로자의 일상과 일치하지 않으면 안되요. 심지어 일터에서 조차요." 주안 호세 오르테가는 말한다. "만일 직원들이 회사에서 커피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울수 있다면, 왜 낮잠은 안되는 건가요?"


* Please find original article in the link below: 

원문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bbc.com/capital/story/20170609-its-time-to-put-the-tired-spanish-siesta-stereotype-to-bed

 

To comment on this story or anything else you have seen on BBC Capital, please head over to our Facebook page or message us on Twitter.

If you liked this story, sign up for the weekly bbc.com features newsletter called "If You Only Read 6 Things This Week". A handpicked selection of stories from BBC Future, Culture, Capital and Travel, delivered to your inbox every Friday.


posted by Simmani
:

By Esme Fox

17 June 2017

에스미 폭스

2017 6 17

Sitting in the taxi on my way into town from the Kuching airport, I could already see that I was going to get along fine in this Malaysian city. After all, I’m a cat person.

쿠칭공항에서 택시를 타고 도심으로 오는 길에 나는 이 말레이시아 도시에서 맘편히 잘 지낼 거라는 걸 이미 알 수 있었다. 결국, 나는 고양이과 인간인 것이다.


Everywhere I looked I saw felines. A giant white cat waved at me from a roundabout just outside Chinatown. A family of robot-like cats stared from the side of the road close to a mosque. Spray-painted alley cats slunk around the sides of buildings in the form of street art. 

어딜 둘러봐도 고양이들이 보였다. 거대한 흰 고양이가 차이나타운 바로 바깥쪽에 있는 로터리에서 나에게 손짓했다. 로봇과 닮은 한 고양이 가족이 모스크(mosque)와 가까이에 있는 길가에서 나를 쳐다보고있었다. 스프레이로 그린 길고양이들이 거리의 예술 형태로 빌딩 주위를 살금살금 돌아다녔다.


References to cats are everywhere in Kuching (Credit: Credit: Grant Dixon/Getty Images)

References to cats are everywhere in Kuching (Credit: Grant Dixon/Getty Images)

쿠칭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묘사된 고양이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The city’s cat obsession really stems from its name,” said Amir, who works at the city’s Cat Museum. “The word ‘kucing’ means ‘cat’ in the Malay language.” 

고양이 박물관에서 일하는 아미르는 이렇게 말한다. "이 도시의 고양이에 대한 집착은 그 이름에서 유래하죠." '쿠칭(kuching)'이라는 단어는 말레이시아 말로 '고양이'를 의미합니다."



The city’s cat obsession really stems from its name

이도시의 고양이에 대한 집착은 이름에서 유래한다.

Housed in the North Kuching City Hall, the Cat Museum is without a doubt the best place in the city to learn all about felin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is city in Malaysian Borneo – a part of the world more commonly associated with orangutans.

북쿠칭시청에 자리를 잡고 있는 고양이 박물관은, 일반적으로 오랑우탄과 관련이 있는 동네인 말레이시아 보루네오 지역에 위치한 이 도시와 고양이와의 연관성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최고의 장소이다. 


Standing among a medley of objects – from mummified Egyptian cat remains to contemporary paintings to porcelain figurines – that traced the history of cats back 5,000 years, Amir explained several theories behind why his city was named after the cat.

고양이의 기원을 지금으로 부터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하는, 미라가된 이집트 고양이 유골에서 부터 포셀린으로 만든 작은 현대의 조각상에 이르기 까지의 다양한 물건들이 뒤섞여 있는 곳 사이에 선채, 아미르는 왜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가 고양이의 이름을 따 왔는지에 대한  배경으로 여러 이론을 설명했다.


The Cat Museum in the North Kuching City Hall traces the history of felines back 5,000 years (Credit: Credit: Esme Fox)

The Cat Museum in the North Kuching City Hall traces the history of felines back 5,000 years (Credit: Esme Fox)

북쿠칭시청에 있는 고양이 박물관은 고양이의 기원을 5천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Some believe that when the first Rajah of Sarawak, an Englishman named James Brooke, arrived in Kuching around 1839, he pointed to the settlement and asked what it was called. A local, mistakenly thinking he was pointing at a passing cat, told him it was called ‘Kucing’.

어떤 사람들은 사라왁(Sarawak)의 첫번째 왕조시대인 1839년경 쿠칭에 도착했던 제임스 브룩(James Brooke)이라고 불리는 영국사람이 도착했을때, 그 지역을 가리키며 지명이 뭐냐고 물었는데, 지역 주민은 그가 지나가는 고양이를 가리켰다고 잘못 생각하고 그에게 '쿠칭'이라고 부른다고 대답했다고 믿고 있다.


Others claim that the city was named after trees that once grew throughout the area, bearing small fruit called mata kuching, or ‘cat’s eye fruit’, that’s similar to lychee. The last theory is that the unusual name was chosen when residents discovered short-tailed cats living along the banks of the Sarawak River which flows through the city.   

한편, 다른 사람들은, 한때 그 지역 전역에서 자라났던 나무의 이름을 따서 도시명을 지었다고 주장하는데, 그 나무에서 리치와 비슷하게 생긴 마타 쿠칭(mata kuching), 혹은 '고양이 눈 과일'이라고 불리는 조그만 과일이 난다는 것이다. 마지막 이론은, 이 독특한 이름은 지역 주민들이 꼬리가 짧은 고양이들이 그 도시를 통과하는 사라왁 강의 둑에서 살고 있는 걸 알게 되었을때부터 이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After visiting the museum, I was keen to discover mor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ats and the residents of Kuching.

그 박물관을 방문하고 나서, 나는 고양이와 쿠칭 주민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어졌다. 


I’d arranged to meet Harris, a local guide who could show me some more of the city’s more famous cat imagery. Kuching is home to a diverse population made up of Malays, Chinese and Indians, as well as local tribespeople such as the Iban, Bidayuh, Orang Ulu and Melanau.

나는 그 지역에서 유명한 고양이 형상을 더 소개해 줄 지역 전문 안내자인 해리스(Harris)를 만나기로 했다. 쿠칭은 이반족, 비다유족, 오랑울루족, 멜라나우족 등 현지원주민들 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인, 중국인, 인도인으로 이뤄진 다양한 주민들의 고향이다.


 As we walked, Harris explained that cats are significant to each group. To the Chinese, for example, they’re a symbol of good luck. And cats have been respected in Islam – the dominant faith of Borneo’s indigenous tribes – for hundreds of years. I even found out that the Prophet Muhammad had a cat named Muezza, whom he cared for greatly. 

같이 걸으면서, 해리스는 고양이가 모든 그룹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중국인들에게는 고양이는 행운의 상징이다. 그리고 보루네오의 토착민들이 가장 많이 믿고 있는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수백년간 존경을 받고 있다. 심지어 나는 선지자 무하메드가 엄청나게 좋아했던 무에자(Muezza)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길렀다는 걸 알게 되었다.


On the banks of the Sarawak River, Kuching is home to Malays, Chinese, Indians and local tribespeople (Credit: Credit: Richard l’Anson/Getty Images)

On the banks of the Sarawak River, Kuching is home to Malays, Chinese, Indians and local tribespeople (Credit: Richard l’Anson/Getty Images)

사라왁 강둑에 위치한 쿠칭은 말레이시아인, 중국인, 인도인과 현지 원주민들의 고향이이다. 

Meanwhile, Borneo residents have long valued cats because they help control pests. Harris told me that in the 1950s, authorities attempted to use chemicals to combat malaria-carrying mosquitos and rats. After the chemicals negatively impacted the region’s feline population, the British Royal Air Force parachuted 14,000 cats into rural Malaysian Borneo in a mission known as ‘Operation Cat Drop’.

한편, 고양이가 해충구제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보르네오 주민들은 오랫동안 고양이를 소중하게 생각했다. 해리스는 1950년대에 정부당국이 말라리아를 전염시키는 모기와 쥐를 없애기 위해 화학약품 사용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이후 그 화학약품때문에 지역 고양이의 개체수가 줄어들자, 영국 공군이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지역에 낙하산으로 14,000마리의 고양이를 투하했는데, 이것이 일명 '고양이 투하 작전'으로 알려진 임무였다.


The cat is deeply ingrained into the fabric of our city

고양이는 우리 도시의 구성 요소로 깊숙이 스며들어있다.

We walked past a family of giant polychrome cats standing on top of a fountain and some playful felines cast in bronze down by the waterfront.

우리는 분수대 꼭대기에 서있는 여러가지색으로 채색된 거대한 고양이 가족과 해안가에 청동으로 주조된 장난기 많아보이는 고양이들을 지나 걸어갔다.


Harris explained that references to the animal are everywhere: students learn at I-CATS – the International College of Advanced Technology Sarawak – and the local radio station is Cats FM. He showed me the city’s crest on top of a tall pillar: a pair of justice scales and a golden cat, with four white cats flanking the bottom. “You see, the cat is deeply ingrained into the fabric of our city, from our history to our modern-day culture,” he said.

해리스는 고양이로 표현된 것들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고 얘기해주었다. 학생들은 아이캣츠(사라왁국제기술대학의 약자)에서 공부하고, 지역 라디오 방송국 이름은 캣츠에프엠(Cats FM)이다. 그는 높은 기둥의 제일 위에 위치한 이 도시의 문장(紋章)(1)을 보여주었는데, 아랫부분의 측면에는 네마리의 흰 고양이가 있고 그 위에 한쌍의 정의의 저울과 한마리의 금색 고양이가 보였다.

* 역자주: (1)문장(紋章):국가나 단체 또는 가문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징으로, 그림이나 문자로 이뤄져 있다.


At the end of our tour, I had amazingly yet to see a real cat, so Harris took me to meet his friends at the Meow Meow Cat Café, located just more than 5km south of the Cat Museum near the Sarawak River. The cafe’s owner and founder, Janet, felt that she had to open a cat cafe to pander to the residents who couldn’t keep one at home.

여행이 끝날때쯤, 놀랍게도 나는 아직도 진짜 고양이를 못봤기 때문에 해리스가 나를 '야옹야옹 고양이 까페'에 있는 자신의 친구들에게 데리고 갔다. 이곳은 사라왁 강 근처에 있는 고양이 박물관에서 5킬로미터 정도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까페의 주인이자 설립자인 쟈넷은, 집에서 고양이를 기르지 못하는 주민들에게 부응하려고 가게를 열어야 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We currently have six cats here of all different species,” she said. 

"여기에는 지금 여섯마리의 고양이가 있고, 모두 종이 달라요." 라고 그녀는 말했다.


Kuching's Chinese population believe cats bring good luck (Credit: Credit:Andrew Watson/Getty Images)

Kuching's Chinese population believe cats bring good luck (Credit: Andrew Watson/Getty Images)

쿠칭의 중국인들은 고양이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는다.

I watched Janet’s other customers: A girl lounged on the sofa with Kiwi, a large white fluffy cat, stretched out beside her; a man sat on the floor playing with Suria, a regal-looking Bengal cat; and a young couple were waving a piece of string in front of Honey, a wide-eyed Persian.

나는 까페의 다른 손님들을 관찰했다. 한 여성은 그녀 옆에서 스트레칭을 하고 있는 커다란 흰털이 보송보송한 고양이(이름은 키위)와 소파에서 느긋하게 누워있었다. 또다른 한 남성은 위풍당당해 보이는 뱅갈고양이(이름은 수리아)와 바닥에서 장난을 치며 앉아있었고, 한 젊은 커플은 하니라고 불리는 눈이 휘둥그래진 페르시아고양이  앞에서 끈을 여러개 흔들고 있었다.


I don’t believe felines bring me luck or have spiritual meaning. But as I sat there, a grey long-haired cat named April purring on my lap, I felt that I was getting along fine in Kuching.

나는 고양이가 나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거나 어떤 영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고 믿지는 않는다. 하지만 내가 그곳에 앉아 있었을때, 이름이 에이프릴(April)인 털이 긴 회색 고양이 한마리가 내 무릎위에서 가르랑거리는 소리를 낼때, 나는 쿠칭에서 이미 맘편히 잘 지내고 있었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 Please find original article in the link below.

http://www.bbc.com/travel/story/20170531-the-asian-city-obsessed-with-cats


Join over three million BBC Travel fans by liking us on Facebook, or follow us on Twitter and Instagram.

If you liked this story, sign up for the weekly bbc.com features newsletter called "If You Only Read 6 Things This Week". A handpicked selection of stories from BBC Future, Earth, Culture, Capital and Travel, delivered to your inbox every Friday.


posted by Simmani
:

TWO COUNTRIES AS CLOSE AS BROTHERS

형제만큼 가까운 나라


In a world of global tension and conflict, it’s both endearing and unusual that two countries that don’t even share a border have set aside a day solely to appreciate their friendship.

지구적인 긴장과 충돌이 일어나고 있는 세계에서, 국경조차 맞대고 있지 않은 나라가 오직 자신들의 우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하루를 따로 놓았다는 사실은 마음을 끌어당기면서도 뭔가 독특한 있다.


By Quinn Hargitai / 하기타이

13 February 2017 / 2017 2 13


When I was growing up, my father used to tell me stories of his travels to Poland.

“It was a rite of passage for Hungarian youth,” he said. “Once we got to Poland we would hitchhike around and stay with locals; we’d just need to hold out a small Hungarian flag on the side of the road and we’d be picked up.”

“Why did the flag help?” I asked once.

내가 한창 자라나던 시절에아버지께서는 폴란드에 여행 갔던 이야기를 해주곤 하셨다.

그것은 헝가리 청년들에게는 통과 의례지,”라고 말씀하셨다. “일단 폴란드에 가게 되면, 우리는 히치 하이킹을 하고 주민들과 머물렀지. 작은 헝가리 깃발을 도로 쪽으로 흔들기만 하면 바로 있었어.”

깃발이 도움이 되었죠?” 나는 언젠가 물어보았다.


Hitchhiking in Poland “was like a rite of passage for Hungarian youth” (Credit: Pawel Kazmierczak/Alamy)

폴란드에서의 히치하이킹은, “마치 헝가리 청년에게는 통과의례 같은 것이었다” (출처: 파웰 카즈미에크작/알라미)


“The two countries have always been friendly, there’s even an old proverb about it: ‘Lengyel, magyar két jó barát, együtt harcol s issza borát.’ In English, it means ‘Hungarians and Poles are two brothers, they fight together and they drink together’,” my father replied.

Although I had heard tales like this all my life, it still came as a surprise when I learned that the friendship between the people of Hungary and Poland is no small matter. In fact, it’s so remarkable that it is celebrated with an official holiday.

나라는 항상 사이가 친근했어. 게다가 오래된 속담도 있지. ‘헝가리인과 폴란드인은 형제이다, 그들은 함께 싸우고 함께 마신다’” 라고 아버지는 말씀하셨다.

나는 이런 이야기를 항상 들었지만, 헝가리와 폴란드 사람들 사이의 우정은 간단하게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자, 그것은 여전히 놀라움으로 다가왔다. 사실, 그것은 너무 주목할 것이어서, 공식 휴일로 기리고 있다.


In 2007, the respective parliaments of both countries declared 23 March as ‘The Day of Polish-Hungarian Friendship’ by unanimous decree. I found it both endearing and unusual that, in a world of global tensions and conflict, two countries that do not even share a border would set aside a day solely to appreciate their camaraderie.

Curious to learn what makes the bond between these countries so special, I sought out Professor Gábor Lagzi, a historian and Polonist at the University of Pannonia in Veszprém, Hungary.

“The friendship between Hungary and Poland is a phenomenon,” Lagzi explained. “It is like two oak trees that grow separately, but their roots are fused, grown together in the soil. We are connected by nearly 1,000 years of intens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relations.”

2007, 나라의 의회는 3 23일을 폴란드-헝가리 우정의 만장일치 하에 법령으로 선포하였다. 나는 지구적인 긴장과 충돌이 일어나고 있는 세계에서, 국경조차 맞대고 있지 않은 나라가 오직 자신들의 동지애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하루를 따로 놓았다는 사실은 마음을 끌어당기면서도 뭔가 독특한 있다고 생각했다.

무엇이 나라 사이에 이러한 연대를 만들었는지에 대해 알고자, 역사가이자 헝가리 베스즈프렘에 있는 판노니아 대학교 교수인 가보르 락지씨를 찾아갔다.

헝가리와 폴란드 사이의 우정은 하나의 현상입니다,” 락지씨는 이렇게 설명했다.

그것은 따로 자라는 개의 떡갈나무 같은 것인데, 하지만 둘의 뿌리는 결합되어있고, 땅속에서 함께 자라났죠. 우리는 거의 1,000 동안의 강렬한 정치, 경제, 문화 관계로 연결되어 있어요.”


The Polish and Hungarian parliaments declared 23 March as ‘The Day of Polish-Hungarian Friendship’ (Credit: REUTERS/Alamy)

폴란드와 헝가리 의회는 323일을 폴란드-헝가리 우정의 선포하였다. (출처: 로이터/알라미)


The precise beginnings of the connection are difficult to identify, but Lagzi notes a history of shared monarchs from the Middle Ages 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14th Century, the Hungarian king Louis the Great inherited the Polish throne after his maternal uncle, the Polish king Casimir III, died without an heir. Louis the Great ruled both countries separately at different points in his life. After his death, his daughter Jadwiga became the first queen of Poland, and remains a respected figure to this day.

그러한 연관성의 정확한 시작은 확인하기가 어렵지만, 락지씨는 중세시대부터의 공동군주를 중요한 요소로 언급한다.

14세기에, 헝가리 루이스 대왕은 후계자 없이 사망한 외삼촌인 폴란드 카시미르 3세에게서 폴란드 왕좌를 물려받게 된다. 루이스 대왕은 평생 동안 나라를 다른 지점에서 각기 다스렸다. 그의 사후에, 딸인 자드위가는 폴란드의 번째 여왕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존경 받는 인물로 남아있다.


In 1576, another Hungarian held the Polish throne – this time by choice – when the people of Poland elected Transylvanian prince István Bathóry as their ruler. But royalty wasn’t all the two countries shared.

“One of the peaks of Polish-Hungarian friendship came in the Spring of Nations in 1848,” Lagzi explained. “Almost everyone has heard of the liberation hero Józef Bem, a Polish general who fought bravely alongside the Hungarians in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the Austrian Empire. In Hungary, we often call him Bem Apó, which is a term of endearment meaning something like ‘Grandpa Bem’.”

1576, 다른 헝가리인이 폴란드 왕좌를 받았는데, 이번에는 선택에 의해서였다. 폴란드 국민들이 트란실바니아 왕자인 이스트반 바쏘리를 지도자로 선출하였다. 하지만 나라가 공유한 것은 왕족만이 아니었다.

폴란드-헝가리 우정의 최고 정점 하나는 1848 민중의 (the Spring of Nations in 1848) 에서 나타났습니다.” 락지씨는 설명했다. “거의 모든 이들이 오스트리아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향한 투쟁에서 헝가리인들 옆에서 용감하게 싸웠던 폴란드 장군이었던 해방운동 영웅 조제프 벰에 대해 이미 듣고 있었죠. 헝가리에서, 우리는 그를 아포라고 종종 부르는데, 이는 할아버지같이 애정을 담은 표현입니다.”


Having fought in both the Polish uprisings against the Russian Empire in 1830 and in the Hungarian uprising against the Austrian Empire in 1848, Bem became regarded as a national hero in both countries, even though he was Polish in origin. According to Lagzi, the slogan ‘For our freedom and yours’ caught on in Poland at this time, reflecting the fact that many Polish war heroes travelled to take part in liberation struggles across the globe.

벰은 폴란드 태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830 러시아 제국에 대한 폴란드 봉기와 1848 오스트리아 제국에 대한 헝가리 봉기 모두에서 싸웠기 때문에, 나라 모두 그를 국가적 영웅으로 여겼다. 락지씨에 따르면, ‘우리들과 너희들의 자유를 위해라는 구호는 많은 폴란드 전쟁영웅들이 전세계에 걸쳐 해방운동 투쟁에 참가하기 위해 이동했다는 사실을 반영하기 때문에, 이맘때에 폴란드에서 유행을 했다.


The friendship between the people of Hungary and Poland is no small matter (Credit: Nick Haslam/Alamy)

헝가리와 폴란드 사람들 사이의 우정은 간단하게 문제가 아니다. (출처: 하슬람/알라미)


Though an intertwined group of monarchs and national heroes certainly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ngary and Poland, it’s true that ties between countries were often solidified through marriage in the Middle Ages, and it wasn’t unheard of for allied countries to be joined in battles.

I asked Lagzi what exactly makes the Hungarian-Polish relationship different from any other alliance. He pointed to World War II, a time when the friendship endured despite the two countries finding themselves on opposing sides: Hungary affiliated with the Axis and Poland on the side of the Allies.

밀접하게 연관된 군주와 국가적 영웅 집단이 헝가리와 폴란드 사이의 관계를 확실히 강화했지만, 국가 사이의 유대관계는 중세시대 혼인을 통해 종종 강화되었다는 점은 사실이고, 동맹을 맺은 국가들이 전투에 합류하게 된다는 것이 금시초문은 아니었다.

나는 락지씨에게 정확하게 무엇이 헝가리-폴란드의 우정을 여느 다른 동맹들과 차이 나게 하는지 물었다. 그는 나라가 서로 반대편에 있는 것을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헝가리는 주축국* 제휴했고 폴란드는 연합국과 제휴했음) 우정이 견뎌냈던 2 세계대전을 들었다.

* 역자 : 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과 맞선 독일, 이탈리아, 일본을 의미


“One of the most beautiful moments in our relationship was the acceptance of more than 100,000 Polish refugees after their country’s collapse in 1939. At that time, Hungary was in an alliance with Germany, remember, but it still proved to be a safe haven for Polish refugees.”

“Weren’t there any consequences for accepting the refugees?” I asked.

“The German authorities, mainly the German embassy workers in Budapest, were not happy,” Lagzi replied. “Still, many Polish refugees remained safe until the German occupation of Hungary. All Hungarian people, from aristocrats to commoners, felt a lot of sympathy for the Polish people.”

우리 관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순간들 하나는 헝가리가 1939 폴란드가 붕괴한 100,000 이상의 폴란드 난민들을 받아들인 것이었습니다. 당시 헝가리는 독일과 제휴하고 있었음을 명심하셔야 해요, 하지만 폴란드 난민들에게는 여전히 안전한 피난처임이 입증되었습니다.”

난민들을 받아들여서 어떤 영향을 받지는 않았나요?” 나는 물었다.

독일 당국, 주로 부다페스트에 있는 독일 대사관 직원들은 좋아하지 않았죠,” 락지씨는 대답했다. “여전히, 많은 폴란드 난민들은 독일의 헝가리 점령이 끝날 때까지 안전하게 머물렀어요. 귀족부터 서민까지, 모든 헝가리 국민들은 폴란드 국민들에게 연민의 감정을 많이 느꼈습니다.”


Though Hungary did order some deportations in the earlier years of the war, the situation did not escalate until after potential armistice discussions between Hungary and the Allies took place in 1944. Seeing the discussions as a betrayal, German forces began an aggressive occupation of the country in retaliation, and soon both Poles and Hungarians – specifically the Jewish and the Roma populations – faced execution or deportation to concentration camps.

헝가리는 전쟁 초기에 일부 난민의 이송을 명령했음에도 불구하고, 1944년에 일어난 헝가리와 연합국간의 잠정 휴전협정 이후 까지도 상황은 악화되지 않았다. 독일군은 그러한 논의를 배반으로 보았기 때문에, 보복으로 헝가리를 공격적으로 점령하기 시작했고, 폴란드인과 헝가리인, 특히 유대인과 집시는 모두 처형되거나 강제 수용소로 이송될 처지였다.


After World War II ended, however, the people of Poland did not have long to wait before they could return the favour, according to Lagzi.

In 1956, protesters in Budapest gathered around a statue of none other than Bem to speak out against the domineering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The result was the Hungarian Revolution of 1956, a bloody conflict that eventually led to a crushing defeat of the Hungarian rebels. The people of Poland quickly stepped in to provide aid to the beleaguered Hungarians. They sent munitions and supplies, and thousands of Polish citizens donated blood for the wounded. The gesture had such a profound and lasting impact that Hungarian parliament declared 2016 as the year of Hungarian-Polish Solidarity to commemorate the 60-year anniversary of the uprising.

그러나, 락지씨에 따르면, 2 세계대전이 끝난 , 폴란드 국민들이 호의를 되돌려 주기까지는 그래 오래 걸리지 않았다.

1956, 부다페스트의 시위대가 소련의 횡포한 영향에 대해 공개적으로 밝히기 위해 바로 벰의 동상 주위에 모였다. 결과가 결국 헝가리 반군의 완패로 끝났던 혈전인1956 헝가리 혁명이었다. 폴란드 국민들은 재빠르게 포위된 헝가리 인들을 돕기 위해 나섰다. 그들은 군수품과 보급품을 보냈고, 천명의 폴란드 시민들이 부상자들을 위해 헌혈했다. 이러한 표현이 깊고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쳐, 헝가리 의회는 봉기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16년을 헝가리-폴란드 연대 해로 선언했다.



Poland and Hungary have a history of helping each other in times of hardship (Credit: REUTERS/Alamy)

폴란드와 헝가리는 어려움이 있을 서로 돕는 역사를 갖고 있다. (출처: 로이터/알라미)


But Lagzi was clear that these government declarations are not merely a whim of the political elite, but largely reflect the will and spirit of the greater population.

 “The Hungarian and Polish parliaments declared 23 March the day of friendship without any votes opposed or abstentions,” he said, stressing that this was a highly unusual occurrence considering that there are usually deep political divides between Hungary and Poland’s political parties.

 “A unanimous vote showed us that the Hungarian-Polish relationship is outside of, or even above, political agendas. It united the entire political elite in both countries.”

하지만 락지씨는 이러한 정부의 선언이 단지 정치적 권력집단의 일시적인 변덕이 아니라, 대다수의 의지와 정신을 주로 반영하는 것이라는 점을 확실히 하였다.

 “헝가리와 폴란드 의회는 323일을 반대나 기권 없이 만장일치로 우정의 날로 선포하였습니다,” 그는 헝가리와 폴란드의 정당 간에 있는 대게 깊은 정치적 분열이 있음을 고려할 이것은 아주 이례적인 경우였다고 강조하였다.

 “만장일치 투표는 헝가리-폴란드 관계가 정치적 의제 밖에, 혹은 훨씬 위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것은 양국 모두에서 정치적 권력집단 전체를 통합했습니다.”


Now, Polish-Hungarian Friendship Day is celebrated annually, with the main festivities taking place in the sister cities of Győr (Hungary) in even years and Poznań (Poland) in odd years. It is an occasion for major politicians of the two countries to gather together, and festivities often include theatrical productions, film screenings and art exhibitions, all centred around the strong bond between the two nations.

But even with this new,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 felt that there was something missing from the equation, some unquantifiable factor that remained elusive.

이제, 폴란드-헝가리 우정의 날은 자매도시인 기요르 (헝가리) 포즈난 (폴란드)에서 각각 짝수 해와 홀수 해에 주요 축제행사를 개최하면서 매년 기념될 것이다. 양국의 주요 정치인들이 함께 모이는 것은 매우 특별한 행사이고, 축제행사에는 종종 양국간의 강력한 유대관계에 중점을 연극 공연, 영화상영 미술 전시회가 포함된다.

하지만 이러한 양국간의 역사적인 유대관계에 대해 더욱 종합적으로 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눈에 띄지 않게 남아있는 어떤 계량 불가능한 요소인 무언가가 방정식에서 빠져있다는 것을 느꼈다.


The Polish-Hungarian Friendship Day is celebrated in Poznań in odd years (Credit: Jan Wlodarczyk/Alamy)

폴란드-헝가리 우정의 날은 홀수 해에는 포즈난에서 기념된다. (출처: 블로다르크직/알라미)


Lagzi understood the sentiment all too well, admitting that the friendship did seem strange, especially from an outside perspective.

“We can look at the history for an explanation, but really I think it is something that cannot be explained logically. Somehow, we Hungarians just inherently love the Poles, and vice versa,” he said.

“The truth is,” he added, “that if asked about the relationship, almost every person in Poland and Hungary would say, ‘we are friends forever’.”

락지씨는 우정이 특히 외부의 관점에서는 매우 이상해 보였을 같다고 인정하면서, 그런 감정 모두를 매우 이해했다.

우리는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역사를 살펴볼 있지만, 저는 정말로 그것이 논리적으로 설명될 없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우리 헝가리인은 폴란드인을 단지 선천적으로 사랑하고, 폴란드인도 마찬가지죠,”라고 그는 말했다.

진실은 바로 이겁니다,” 그는 말을 이어갔다, “만약 나라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을 받는다면, 거의 모든 폴란드와 헝가리인은 우리는 영원히 친구입니다라고 말할 것이라는 겁니다.”


If you liked this story, sign up for the weekly bbc.com features newsletter, called “If You Only Read 6 Things This Week”. A handpicked selection of stories from BBC Future, Earth, Culture, Capital, Travel and Autos, delivered to your inbox every Friday.

만일 이야기가 마음에 드셨다, “만일 당신이 이번 주에 6가지만 읽는다면이라고 불리는 주간 비비씨닷컴 읽을거리 뉴스레터를 신청하세요. 비비씨의 미래, 지구, 문화, 금융, 여행, 자동차에서 엄선된 이야기들이 매주 금요일 당신의 받은 편지함으로 배달됩니다.


* PLEASE REFER TO FOLLOWING LINK for Original Article(원문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bbc.com/travel/story/20170210-two-countries-as-close-as-brothers


posted by Simman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