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s Chilly Response to a Joint Olympic Team

올림픽 단일팀에 대한 한국의 냉랭한 반응

The hoped-for breakthrough for sports diplomacy isn’t turning out the way Seoul had planned.

스포츠 외교에 기대하고 있던 타개책이 한국이 계획했던 방향대로 흘러가지 않고 있다


에스 네이썬  / 2018 1 29

1991 was a watershed year for sports diplomacy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year,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ielded joint men’s and women’s teams at the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as well as a joint boys’ team in the fifa World Youth Championship. Both teams—the Koreas’ first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since their division in 1945—performed well: The unified ping pong team won gold in the women’s team event, while the unified youth soccer team defeated Argentina at the group stage. The South Korean press hailed their success. An article in Dong-A Ilbo, a conservative daily, breathlessly declared the women’s ping pong team’s win “the happiest news in the 46 year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ople.”

1991년은 한반도 스포츠 외교에 분수령으로 기록된 해였다. 한국과 북한은 피파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와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남녀 단일팀을 내보냈다. 1945 분단 이후 최초로 국가간 경쟁에 참가했던 남북 단일팀은 뛰어난 성적을 거뒀다. 여자 단일 탁구 팀은 대항전에서 금메달을 땄으며, 한편 단일 청소년 축구 팀은 예선전에서 아르헨티나를 꺾었다. 한국 언론은 이들의 성공을 환호하며 맞이했다. 보수 일간지 동아일보는 기사에서 당시 여자 탁구 팀의 승리를한민족 분단 46 동안에 가장 기쁜 소식이라고 숨죽인 단언했다.

Twenty-seven years later, the two Koreas will field another unified team, this time in women’s ice hockey at next month’s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mid the escalat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s very participation in the games was considered a major breakthrough. Both South and North Korea’s entire delegations will also enter the opening ceremony under the same flag, under the name “Korea.”

그로부터 27 , 남북한은 다음달에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번에는 여자 아이스 하키 단일팀을 내보낼 것이다.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와중에, 북한이 이번 올림픽에 참가하는 만으로도 중대한 돌파구가 것으로 생각되었다. 남북한 양측의 전체 선수단은 또한코리아라는 이름으로 같은 국기를 사용하여 개회식에 입장할 것이다.

But pageantry and fraternal goodwill aside, the International Olympics Committee’s decision to allow the North to participate hasn’t been met with the universal acclaim one might expect. Indeed, unlike in 1991, South Korea’s reception to North Korea is likely to be as chilly as the Gangwon-do breeze.

하지만 화려한 행사와 형제간의 친선은 접어두고, 북한의 참가를 허락하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결정은 예상만큼 전세계의 찬사를 받지 못했다. 실은 1991년과 다르게, 북한에 대한 한국의 반응은 강원도에 부는 산들바람만큼 냉랭하다.

Domestic politics explains at least part of South Korea’s frostiness. South Korea’s conservatives, whose approval ratings have plummeted since the impeachment of their former president Park Geun Hye, have rediscovered their favorite accusation against the liberals: that they are soft on North Korea. Na Gyeong Won, a legislator and member of the conservative opposition, has called the upcoming games the “Pyongyang Olympics,” a derisive label that conservative newspapers—including Dong-A Ilbo, which wrote so glowingly of the unified ping pong team in 1991—have gleefully echoed. That South Korea’s conservatives are trying to denigrate the first Winter Olympics in their country in an effort to score political points is an extraordinary display of cynical partisanship. Their efforts are also more than a little hypocritical. As recently as December 2014, South Korea’s conservative party was urging the government to consider splitting hosting duties with North Korea.

한국의 국내 정치 상황을 보면 한국의 냉담함에 대해 조금은 이해를 있다. 전임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지지율이 급락했던 한국의 보수 정치인들이 진보 정치인들에게 써먹는, “진보진영은 북한에게 너그럽다라는 비난을 다시 조명하고 나선 것이다. 야당 소속 나경원 의원은 이번 올림픽을 조롱하는 명칭을 사용하며평양 올림픽이라고 불렀으며, 1991년에 단일 탁구 팀을 그토록 극찬하며 묘사했던 동아일보를 포함한 여러 보수 신문들은 신이 나서 표현을 그대로 따라 했다. 정치적인 이익을 얻기 위한 노력으로, 모국에서 열리는 번째 동계 올림픽을 헐뜯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한국의 보수정치인들은 자기 당의 이익만 생각하는 비정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노력은 다소 위선적인 이상이기도 하다. 얼마 2014 겨울, 한국의 보수정당은 정부에 북한과 올림픽 동시개최를 고려하라고 촉구하고 있었다.

Partisanship alone, however, does not explain South Korea’s stance on the North Korean athletes. In a poll conducted immediately after Kim Jong Un’s New Year’s address, in which he announced North Korea would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Winter Olympics, 65 percent of South Koreans said they believed such conciliatory gestures did not mean his attitude towards them had changed in any way; 90 percent believed North Korea would never give up its nuclear weapons. Support for the unified Korean team is lukewarm: 44.1 percent in favor versus 42.6 percent against, according to a recent poll.

하지만 자기당만 생각하는 행동 자체만으로 북한 체육인들에 대한 한국의 입장이 설명되진 않는다. 북한이 동계올림픽에 참가하려고 하는 의사가 있다고 밝힌 김정은의 신년 연설 직후 진행된 여론 조사에서, 65퍼센트의 한국인은 이러한 북한의 화해의 표현이 어떤 식으로든 자신들을 대하는 태도가 바뀌었다는 의미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했으며, 90퍼센트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남북한 단일팀에 대한 지지율은 미적지근했다. 조사결과, 44.1 퍼센트가 찬성하고 42.6 퍼센트가 반대했다고 한다.

The same poll found that the strongest opposition to the unified Korean team comes from younger South Koreans. Fifty percent of South Koreans in their 30s opposed the formation of the unified team. Rather than feeling some surge of inter-Korean nationalism, younger South Koreans seem to view the North Korean athletes as free riders leeching off a South Korean team that worked hard to qualify for the Olympics. (In this rendering, the fact that South Korea’s women’s hockey team, ranked 22nd in the world, qualified automatically by virtue of being from the host country is casually forgotten.)

또한 이번 조사에서 남북한 단일팀에 대해 가장 강하게 반대하는 것은 한국의 젊은 세대인 것으로 밝혀졌다. 30대의 50퍼센트가 단일팀 구성에 반대했다. 한국 젊은이들은 남북한 사이에서 애국심이 고조되는 것을 느꼈다기 보다는, 북한 선수를 올림픽에 출전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던 한국 팀에 거머리처럼 달라붙어있는 무임승차자로 여기는 하다. (이런 생각을 , 한국 여자하키팀이 세계 22위이며 주최국이어서 자동으로 출전자격이 부여되었다는 사실은 무심코 잊혀진다.)

Justified or not, the younger generation’s feelings about the joint team offer a window into its broader attitude toward North Korea. Unlike their parents, they have little reason to feel kinship with North Koreans: A South Korean in her 30s was born a full generation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and came of age in the mid-90s. By then, Seoul had already grown into a glittering metropolis, while hundreds of thousands of North Koreans were starving to death during the March of Struggles from 1994 to 1998.

정당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단일팀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이런 생각은 북한에 대해 포용력 있는 태도를 보이는데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부모님 세대와 달리, 이들에게는 북한 사람들과 연대감을 갖게 하는 이유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 , 30 여느 한국인은 한국전쟁 이후에 세대를 채운 다음 태어났고, 90년대 중반에 성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때까지, 서울은 화려한 대도시로 성장한 반면, 십만 명의 북한인들은 1994년에서 1998 고난의 행군기간 동안 기아에 시달리며 죽어가고 있었다.

Although South Korea’s public education system emphasizes that all Koreans belong to the same minjok(“people”), young South Koreans can hardly identify with North Koreans. Young South Koreans tend to be wealthy, global-minded and well-traveled; those to the north are destitute and steeped in the Kim regime’s propaganda. In a hypothetical, reunified Korea, the burden of taking care of the North Koreans would fall on the South Koreans, and especially on the younger generation.

한국의 공공교육 체계는 모든 한국인은 같은 민족(“사람들”) 속한다고 강조하는 반면, 한국 젊은이들은 북한사람들과는 거의 동질감을 갖지 못한다. 한국 젊은이들은 대체로 풍족하고, 넓은 시야를 갖고 있으며, 여행 경험이 풍부하지만, 북한 젊은이들은 궁핍하고 김정은 정권의 선전에 매몰되어 있다. 만일 한국이 통일 된다면, 북한 사람들을 돌보는 부담이 한국인들에게 부과될 것이며, 특히 젊은 세대가 영향을 받을 것이다.

All this places Moon Jae In,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in a difficult position. He has tried to leverage Nor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Olympics as a part of the peace process—a trust-building exercise, on the global stage. But the South Korean public is less than enthused. By the end of 2017, his approval rating was a stratospheric 77 percent; now, it sits at 64 percent, with a significant declineamong voters in their 20s and 30s who once supported him at over 90 percent.

모든 사항들이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의 처지를 어렵게 만든다. 그는 북한의 동계 올림픽 참가를 평화를 향해 가는 진전(세계 무대에서 신뢰를 쌓는 연습) 부분으로 활용하려고 했다. 하지만 한국 국민은 이보다 열정적이지 않다. 2017 말까지 문대통령의 지지율은 엄청나게 높은 77퍼센트 였지만, 현재는 64퍼센트에 머물러 있으며, 한때 90퍼센트 이상 지지했던 20 30 유권자 사이에서 지지율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Moon, the son of North Korean refugees, is likely to be the last South Korean president with any kind of sentimental aspiration for a reunified Korean Peninsula. His successor will probably be younger than him, and more attuned to the preferences of the younger South Koreans who are drifting further from North Koreans each year. Even for those South Koreans who favor dialogue with North Korea, the failure of the Sunshine Policy, Seoul’s previous attempts at diplomatic engagement with Pyongyang, left a bitter taste. All of this points to an underappreciated conclusion: that the Olympics gesture may represent the last olive branch that Seoul ever extends to Pyongyang.

북한 난민의 아들인 문대통령은, 통일 한반도에 대한 정서적 염원을 갖고 있는 최후의 한국 대통령일 것이다. 아마 그의 후계자는 젊을 것이며, 매년 북한 사람들에게서 멀어지고 있는 한국의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것들에 적응되어 있을 것이다. 북한과 대화를 선호하는 한국인들에게도, 북한과 외교적 관여를 이루기 위해 예전에 시도했던 햇볕정책의 실패는 씁쓸함을 남겼다. 모든 것들은 남들이 인정하지 않는 결론을 시사한다. , 이번 동계올림픽과 연관된 움직임이 한국이 북한에게 내미는 마지막 화해의 손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The memory of the Sunshine Policy’s failure also drives Moon, who has taken a more hawkish approach to North Korea than expected. A former special-forces paratrooper, he has pursued a combination of pressure—“decapitation” missile drills and the military expansion—and dialogue. Compared to his liberal predecessors, Moon’s reserve of patience toward North Korea appears to be lower.

햇볕정책 실패의 기억은 또한 북한에 대해 예상보다 강경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는 문대통령을 몰아붙이고 있다. 특전사 낙하산부대 예비역인 그는 (“참수미사일 훈련 군비확장 같은) 압박과 대화를 조합하는 방법을 추구했다. 그의 진보진영 전임자와 비교할 , 북한에 대한 인내심은 문대통령 쪽이 상대적으로 적은 같다.

Indeed, in a presidential staff meeting on January 22, Moon said that “no one can be optimistic about how long the atmosphere for a dialogue [with the Kim regime] would continue.” If Nor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inter Olympics does not lead to more talks, he said, “it will not be easy to find another occasion for a dialogue.” On one level, Moon was making a plea for South Koreans to welcome North Korea to the Games. But there may be a deeper, more ominous message to Pyongyang: This is your final chance. Don’t waste it.

실은 오히려 1 22 청와대 수석 보좌관 회의에서, 문대통령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김정은 정권과) 대화하는 분위기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 아무도 낙관할 없습니다.” “만일 북한의 동계 올림픽 참가가 추가적인 대화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대화를 위한 다른 계기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문대통령은 한국 국민들에게 동계올림픽에 오는 북한을 환영해 달라고 간절히 부탁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북한에게  심오한, 심상치 않은 메시지가 있을 수도 있다. 그건 바로, ‘이게 마지막 기회입니다. 절대로 헛되게 낭비 하면 안됩니다.’ 것이다.

* 원문은 하기 링크에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please find original article in the following link)

https://www.theatlantic.com/international/archive/2018/01/olympics-north-korea-moon-kim-jong-un-hockey/551708/


posted by Simmani
:

How much is ‘too much time’ on social media?

소셜미디어를 '너무 오래' 사용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를 말할까?

Researchers are investigating whether social media addiction constitutes a mental disorder. Is this a moral panic or food for thought?
전문가들은 소셜미디어 중독이 정신적 장애로 구분되어야 하는지 연구중이다. 이는 정신적 공황상태인가 아니면 한번 생각해 볼만한 주제인가?


  • By Sophia Smith Galer

19 January 2018소피아 스미스 게일러2018년 1월 19일

Describing yourself as ‘a social media addict’ doesn’t usually inspire concern from other people. In fact, it’s frequently included in bio descriptions on Twitter and Instagram. Decorate your LinkedIn profile with such a claim and you may even find yourself receiving interest from media and publishing companies searching for a savvy digital native. But imagine if, one day, it’s not an accolade or joke at all – but a psychiatrist’s diagnosis?

당신 스스로를 '소셜 미디어에 중독된 사람'이라고 표현해도 남들은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사실, 이것은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에 자기소개 서술란에 자주 포함되어 있다. 당신의 링크드인(LinkedIn) 소개자료를 그러한 내용으로 꾸민다면, 아마도 디지털기기에 지식이 많은 사람을 찾고있는 방송매체 및 출판 회사에서 당신에게 관심을 보내 올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어느 날 그것이 누가 칭찬하거나 농담하는 게 아니라 정신과 의사가 내린 진단이라면 어떻겠는가?

Social media addiction has been a much-flouted term lately; maybe it’s because it’s January and users are looking to be more active and spend less time online, or maybe that’s because social media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our mental well-being. But a growing body of research is seriously considering whether problematic and excessive social media usage could be pathological and, in turn, designated as a mental health disorder.

소셜미디어 중독은 최근 많이 무시되고 있는 용어였다. 이는 아마도 지금이 1월이고 사용자들이 더 활동적이면서 온라인에서는 시간을 덜 쓰려고 하기 때문이거나, 아니면 소셜미디어가 우리의 정신적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연구에서, 문제가 될만큼 지나친 소셜미디어 사용이 병적일 수 있고, 결국 정신 건강 장애로 지정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심각하게 검토중이다.

There are two established organisations which classify mental disorders –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WHO) and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ny alleged addiction needs to fit certain criteria before it’s considered pathological behaviour, and there needs to be a vast amount of research that confirms it. It was only announced in January 2018 that video gaming addiction – a problem as old as the internet itself – will be listed by the WHO as a disorder.

현재 정신 장애를 구분하는 두 곳의 기구가 설립되어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다. 중독이라고 제기된 어떠한 행동도 특정 기준을 충족시켜야 병적 행동으로 간주되고, 그를 뒷받침하는 수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018년 1월에 들어서야 비디오 게임 중독이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장애로 등록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What’s especially interesting about this new classification is that one of the experts who has been researching it for decades – Mark Griffiths at Nottingham Trent University – has also been investigating gambling addictions, internet addictions and the excessive, perhaps even dangerou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Facebook, Twitter and Instagram.

이러한 새로운 분류에 대해 특히 흥미로운 점은, 이에 대해 수 십년간 연구해왔던 전문가 중 한 명인 노팅엄 트렌트 대학(Nottingham Trent University)의 마크 그리피쓰(Mark Griffiths) 교수가 도박 중독, 인터넷 중독, 그리고 페이스북, 트위터 및 인스타그램 같은, 어쩌면 더 위험한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과도한 사용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Do I believe that people can be so engrossed in social media that they neglect everything else in their life?” he asks. “I do think it can be potentially addictive.”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다른 모든 생활을 소홀히 할 수 있다고 제가 믿고 있냐고요?" 그가 물었다. "저는 정말로 소셜미디어가 충분히 중독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In his research, Griffiths has found that a technological compulsion like ‘social media addiction’ comes with all the behavioural signals that we might usually associate with chemical addictions, such as smoking or alcoholism. These include mood changes,  social withdrawal, conflict and relapse.

그리피쓰의 연구에 의하면, 그는 '소셜 미디어 중독' 같은 기술에 관련된 강박이 흡연이나 알콜중독 같은 화학적 중독과 연관시킬 수 있는 모든 행동 징후를 수반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런 징후에는 기분의 변화, 사회적 위축, 물리적 충돌 및 재발이 포함된다.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whether a person can differentiate between healthy use and a relationship with social media sites that is negatively affecting their life.

가장 중요한 요인은, 어떤 사람이 자신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건전하게 활용하는 것과 연애하듯 빠지는 것 사이를 구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If I take video gaming, for example, I’ve come across a lot of very excessive gamers,” Griffiths explains, “but there’s little known negative, detrimental effects in their life. If they did that for two years then maybe obesity or being generally sedentary might bring on some health issues, but in terms of addiction? Excessive enthusiasms add to life and addictions take away from it.”

그리피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만약 제가 비디오 게임을 예로 들어 본다면, 저는 과도하게 게임을 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났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살아가는 동안 부정적인, 즉 해롭다고 알려진 효과는 거의 없죠. 만일 그 사람들이 2년 동안 게임을 했다면 아마도 비만이나 일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행위가 일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중독 측면에서는 어떨까요? 지나치게 열광하는 행위가 활력에 더해져서 중독이 줄어듭니다."

So, as long as that enthusiastic playing isn’t affecting an individual’s job or personal relationships, then there is no need for concern. Putting a time limit on social media use is, for Griffiths, “a bit of a red herring. You can have two people doing things identically – it makes a big difference if someone has a job, partner and two children.”

그러므로, 열광적으로 게임을 하는 행위가 개인의 일이나 인간관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피쓰 교수는, 소셜 미디어 사용 시간에 제한을 두는 것이 "약간의 관심 돌리기죠. 당신이 두 사람에게 똑같이 어떤 일을 하게 하고, 만일 한 사람이 직업을 갖고 있고 같이 지내는 사람이 있으며, 두 명의 아이들이 있다면 그 결과는 엄청나게 차이가 날 것입니다."

This suggests that screentime isn’t necessarily an accurate gauge for whether someone is using their favourite platforms problematically. When we polled BBC Future’s Twitter followers for what they thought was ‘too much’ time on social media, there was little consensus. Of course, our results were from a self-selecting sample so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e general population, but they were nonetheless interesting.

이는 사용 시간이 반드시 어떤 사람이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플랫폼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가리는 정확한 기준이 아님을 시사한다. 비비씨 퓨처(BBC Future) 트위터 팔로워들을 대상으로 '너무 오래'는 어느정도인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했을 때, 거의 일치하는 대답이 없었다. 물론, 이 결과가 스스로 참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인구를 반드시 나타내지는 않지만, 어쨌거나 흥미로웠다.

Over a third (40%) of the 554 people who voted thought that more than two or three hours was too much, but we know that most people spend at least two hours social networking and messaging every day. The majority of internet users do not have pathological relationships with social media, which surely means that two or three hours probably isn’t too much at all. We know that over a third of UK 15-year-olds use the internet for six or more hours a day, with much of that time dedicated to social networking sites. Despite their heavy consumption, such heavy use does not mean these young people are mentally unwell. Time spent online is only one factor. There are clearly other things to consider.

설문에 참가한 554명의 3분의 1을 넘는(40%) 사람들이 2시간이나 3시간 이상이 '너무 오래'에 해당한다고 생각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매일 최소 2시간을 소셜 네트워킹을 하고 메세지를 보내는데 사용한다는 것을 우리도 잘 알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 대다수가 소셜미디어와 병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 않고, 이는 당연히 2시간이나 3시간이 아마도 그렇게 '너무 오래'는 아니라는 의미이다. 우리는 15세 영국인 3분의 1 이상이 하루에 인터넷을 6시간 혹은 그 이상 사용하는 걸 알고 있으며, 그 시간의 대부분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 할애된다. 뭔가 고려할 다른 사항들이 있음이 분명하다.

So, if it’s not about the amount of time spent, what else might define social media addiction – or help us understand what sort of person might be most vulnerable to it?

그래서, 만일 사용한 시간의 양이 아니라면, 소셜 미디어 중독을 정의할 수 있는, 아니면 어떤 사람이 이런 중독에 취약한지 우리가 이해할 수 있게 해 줄 또 다른 요인은 무엇일까?

Griffiths and his colleague Daria Kuss published the first ever review paper for what he calls SNS (social networking sites) addiction in 2011, at a time when there were only three papers on the subject. They found that extroverts appear to use these sites for social enhancement, whereas introverts use them for social compensation. They also found that more time spent on these sites involved less involvement with real-life communities. In 2014, in another overview paper, they added that SNS use provides continuous rewards; users may increase engagement with it to relieve dysphoric mood states, sometimes leading to psychological dependency.

그리피쓰 교수와 그의 동료 다리아 쿠스 교수는 2011년에 자신이 명명한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NS) 중독에 관한 최초의 분석 논문을 발표했는데, 당시에는 해당 주제로 단 세 개의 논문밖에 없었다. 이들은 외향적인 사람들은 이런 사이트를 사교성을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내향적인 사람들은 (부족한) 사교성을 보상하는데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이런 사이트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입수록 실제 공동체에는 덜 참여하는 것도 확인했다. 2014년, 또 다른 논문에서 그들은 SNS를 사용하면 계속해서 보상을 제공받는다고 했는데, 즉, 사용자들이 불쾌한 기분 상태를 완화시키려고 SNS를 더 사용할 수 있으며, 때로는 이로인해 정신적으로 의존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n in 2017 a large, national survey found that those showing addictive behaviours were more likely to be women, young and single. They also tended to have lower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self-esteem.

그 후 2017년 전국 규모의 방대한 설문조사에서, 중독적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은 여성, 젊은이, 혼자사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그들은 교육수준, 소득, 자존감이 비교적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The thing about social networking is that it’s a social behaviour. In terms of general sex differences and gender differences, the typical female tends to be more social than the typical male,” says Griffiths.

"소셜 네트워킹에 관한 사실은 그것이 사회적 행동이라는 것이죠. 보통의 생물학적 성차이나 사회적 성 차이에 따르면, 전형적인 여성이라면 남성보다 더 사교적인 경향을 띱니다." 그리피쓰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For Griffiths, the potential for SNS addiction lies in content and context of excessive use – not the time spent. However, at a conference about social media and mental health at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he concluded that the reasons behind such an addiction are still unclear. It could be to do with Fomo, the fear of missing out. Smartphone addiction might also be a part of it, as well as nomophobia – the fear of not having your phone with you at all times. More importantly, the data on SNS research is skewed toward Facebook, little is available about photo-based platforms like Instagram and Snapchat.

그리피쓰 교수는, SNS 중독 가능성은 그 내용, 그리고 과도한 사용과 연관된 전후사정에 따라 구분하며, 시간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하지만, 영국 왕립의학협회(Royal Society of Medicine)에서 열린 소셜 미디어와 정신건강에 관한 학회에서, 그는 그런 중독의 이면에 있는 이유가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결론내렸다. 이것은 기회를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인 *포모(FOMO : the Fear Of Missing Out)와 연관있을 수도 있다. 스마트폰 중독은 이 포모의 일부분 일수도 있고, 휴대폰을 항상 갖고 있지 못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인 노모포비아(Nomophobia : the fear of not having your phone with you at all times)일 수도 있다. 더 중요한 것은, SNS 연구에 관한 자료가 페이스북에 편향되어있고, 사진 중심 플랫폼인 인스타그램이나 스냅쳇 관련자료는 거의 없다는 점이다.

* 역자 주: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을 까 두려워 하는 증상. 예를 들면, 몸이 아픈데도 파티에 끝까지 남아 있으려고 하는 태도이다.

This means that social media, or SNS addiction, is a long way from being designated as a mental disorder. Amy Orben, a social media psychologist at the University of Oxford, says that for now, she has strong reservations about defining social media as an addiction. “The evidence is still so scarce it is difficult to even know whether the effect of social media is positive or negative. We need to make sure we don’t overpathologise regular behaviours.”

이것은 소셜 미디어 혹은 SNS 중독이 정신 장애로 지정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 심리학자인 에이미 오르벤(Amy Orben) 옥스퍼드대 교수는 현재로서는 소셜 미디어를 중독으로 정의하는 데 강한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근거가 여전히 희박하기 때문에 심지어 소셜 미디어의 영향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도 알기 어렵죠. 우리가 평범한 행동을 과도하게 병적으로 간주하지 않게 확실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Whether it is one day classified or not – it is clear that there are downsides to using social media platform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young people who spend more than two hours a day on social networking sites are more likely to report poor mental health. If you’re on Instagram, there are examples aplenty of overly-filtered simulations of life that are supposed to be ‘aspirational’ but instead make many users feel like we’re having a worse life than our peers. It’s of little surprise that Instagram was rated as the worst social media platform for young people’s mental health in a UK survey. Yet its audience is growing – there are now over 800 million users worldwide.

이것이 어느 날 병적으로 분류되던지 말던지 간에,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는 행동에 부정적인 면이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연구에 따르면, SNS에 하루에 두 시간 이상을 사용하는 젊은이들은 정신 건강이 안 좋다고 판정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시사했다. 만일 당신이 인스타그램에 접속 해보면, 과하게 인공적으로 삶을 흉내내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고, 이는 '더 출세하고 싶어하는'것으로 여겨지지만, 그 대신 많은 사용자들은 자신의 또래보다 더 나쁜 환경에 놓여있다고 느끼도록 만든다. 영국 설문조사에서, 인스타그램이 젊은이들의 정신건강에 가장 안좋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평가된 것은 놀랍지 않다. 하지만 인스타그램 구독자는 늘어나고 있고, 전 세계에 8억명이 넘는 사용자가 있다.

We do know there is a direct link between social-media use and depression but other research shows that social media use is not always negative. One 2017 study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creen time and mental well-being works in a sort of upside-down u-curve. They call it the Goldilocks Hypothesis: - increasing doses of time on your smartphone or your computer is actual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well-being, but only to a point. Then, the dose i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well-being, as the graph below shows.

우리는 소셜 미디어와 우울증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다른 연구에 의하면, 소셜 미디어 사용이 항상 부정적인것은 아니다. 2017년 한 연구에 의하면, 디지탈 사용 시간과 정신적 행복간의 관계가 일종의 뒤집힌 U자 모양 커브와 잘 맞는다는 점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이를 골디록 가설(Goldilocks Hypothesis)이라고 부르는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투입하는 시간의 양을 늘리는 것이 실은 행복과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단지 어느 지점까지만 그렇고, 이후로는 그 양이 아래 그래프에서 보여주듯이, 더 낮은 정도의 행복과 연관되어 있다. 

Credit: Andrew Przybylski

The team found that moderate digital technology use “is not intrinsically harmful and may be advantageous in a connected world.” One of its authors, Andrew Przybylski from the University of Oxford, told BBC Future that “if you don’t have any access, or if there’s a no screen policy in a home, there are ways that that home or that childhood might be fundamentally different".

연구팀은 디지탈 기술을 보통 수준으로 이용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해롭지 않으며 서로 연결된 세계에서 이득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저자 중 한 명인 옥스포드대 앤드류 프지빌스키(Andrew Przybylski) 교수는 비비씨 퓨처(BBC Future)와 인터뷰에서 "만일 당신이 집에 들르지 않거나, 혹은 집에서 디지탈 기기 사용시간을 규제하지 않는다면, 그 집이나 그 어린이들은 근본적으로 다를 겁니다"라고 말했다.

He added: “There’s a sweet spot where it looks like it’s part of kids’ lives, but it really doesn’t start getting disruptive until you start going to five, six, seven hours a day.”

그는 이렇게 첨언했다. "그곳에서는 행복을 느껴서 마치 아이들 삶의 일부처럼 보이지만, 하루에 5, 6, 7시간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이제는 일상이 파괴되기 시작하죠."

When it does begin to get disruptive, or someone is online far too much, one solution could come in the form of pop-up warning signs. Griffiths says that they’re currently used by online gambling sites and, more importantly, they’re working.

정말로 일상을 파괴하기 시작하거나 누군가 엄청나게 너무 많이 온라인 공간에서 머무른다면, 도중에 튀어나오는 경고 신호가 한 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그리피쓰 교수는 이런 해결책이 현재 온라인 도박 사이트에서 사용되며,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이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The way that we’ve designed these for companies is to make sure that all the messaging is done in a non-judgmental, non-confrontational way. You incorporate normative information to let people know how their behaviour compares with other people – you’ve gambled this much and it’s 10 times what the normal person does. It doesn’t say that’s good or bad.”

"이런 회사들을 위해 우리가 고안한 방법은 모든 메세지를 보낼때 거기에 판단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대립적인 방식이 안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당신은 규범적 정보를 통합해서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어떤지 알게 하는 것이죠. 즉, 당신이 이렇게 도박을 오래 했고 보통의 사람보다 10배 더 많이 한 것이다, 이렇게요. 여기서 좋다 나쁘다는 말하지 않죠."

Encouraging users to self-appraise in this way could pave the way for a similar move in social media. These social comparisons could help individuals understand whether their use is comparative to their peers. A teen spending hours online during the day might be ok, but if a sign popped up at three in the morning saying “3% of your age group are online right now” you might recognise this as detrimental.

사용자들이 이렇게 스스로 평가하도록 독려하면 소셜 미디어에서 유사한 움직임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비교는 각 개인의 온라인 접속 시간이 자신의 또래집단에 비해 어느정도 많은지 여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어떤 10대가 낮시간 중에 몇 시간 동안 온라인에 접속한다면 괜찮을 수도 있겠지만, 만일 새벽 3시에 신호 창이 떠올라서 "당신 또래의 3%가 현재 접속중입니다"라고 알려준다면 당신은 이것이 해롭다는 걸 인식할 수 있다.

Unfortunately, if social media addiction is ever a recognised disorder – self-appraisal, and the realisation that heavy social media use is affecting us more than we think, might happen too late. Until then, a little self moderation might go a long way.

불행히도, 만약 언젠가 소셜 미디어 중독이 장애로 인정된다면, 스스로 평가하는 행동,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끼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깨달음은 너무 늦은 것이. 그때까지, 어쩌면 조금 스스로 절제하면 도움이 될 지도 모른다.

* 원문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please find original article in the link below)

http://www.bbc.com/future/story/20180118-how-much-is-too-much-time-on-social-media

Follow our #LikeMinded season for tricks and tips to moderate your virtually social, over-shared world.

 Join 800,000+ Future fans by liking us on Facebook, or follow us on Twitter.

If you liked this story, sign up for the weekly bbc.com features newsletter, called “If You Only Read 6 Things This Week”. A handpicked selection of stories from BBC Future, Earth, Culture, Capital, and Travel, delivered to your inbox every Friday.

posted by Simmani
:

Bitcoin: South Korea sways cryptocurrency prices - but how?


비트코인: 한국, 가상화폐 가격을 흔들다. 어떻게 된 일일까?

17 January 2018

2018년 1월 17일

South Korea's government has been signalling that it plans to crack down on cryptocurrency trading.

한국 정부는 가상화폐 거래를 단속할 계획이라는 신호를 계속해서 보내고 있다.

Exactly how it will do this remains vague. But just the threat of action has been enough to drive a sell-off across the market globally.

정확하게 어떻게 그럴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그런 행동의 조짐 만으로도 전세계적으로 시장 전반에 걸쳐 급락을 유도하기에 충분했다.

Bitcoin, for example, has lost nearly a quarter of its value in the past week. And so on Wednesday the virtual currency - which last month looked set to breach the $20,000 (£14,500) mark - was trading closer to $12,000.

예를 들어 비트코인(Bitcoin)은 지난 주에 거의 4분의 1만큼 하락했다. 이후, 지난달에 2만달러를 돌파하기 시작하는 것처럼 보였던 가상화폐는 수요일에 1만2천달러에 더 가까워지며 거래되고 있었다.

Prices of cryptocurrencies are volatile at the best of time. Rises and falls of 10% or more in a day are not uncommon. And pinning down rationale for those sharp movements often involves guesswork.

가상화폐 가격은 가장 좋은 때에도 불안하다. 하루에 10%나 그 이상의 등락이 비일비재하다. 그리고 그런 급격한 움직임에 대한 근거를 찾는 것은 추측을 동반하기도 한다.

But it seems that events in one relatively small Asian nation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arket.

하지만 비교적 작은 한 아시아 국가인 한국에서 벌어진 사건들이 시장에 중대한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것 같다.

How important is South Korea to virtual currency markets?

가상 화폐 시장에서 한국은 얼마나 중요할까?

South Korea is the third-biggest market in the world for Bitcoin trades, behind Japan and the US, according to the digital currency website Coinhills. That's an estimate made by looking at counting the volume of Bitcoins that have been exchanged for various currencies.

전자화폐 사이트인 코인힐스(Coinhills)에 따르면, 한국은 비트코인 거래에 있어 일본, 미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번째로 큰 시장이다. 이것은 여러가지 화폐로 교환된 비트코인의 양을 계산하여 확인한 예측치이다.

Of course, a buyer could be sitting in Singapore or Serbia while using South Korean won to trade, but the Coinhills breakdown is pretty much the best we have to go on.

물론, 화폐 구매자가 한국 원화를 사용하지만 싱가폴이나 세르비아에 살고 있는 사람일 수도 있지만, 코인힐 분석이 우리가 근거로 삼을만한 거의 최선의 수단이다.

The Korea Blockchain Industry Association estimates that South Korea has more than a dozen cryptocurrency exchanges.

한국블록체인산업협회는 한국에 12개 이상의 가상화폐 거래소가 있다고 추산한다.

And there's so much demand that the virtual currency has traded at as much as a 30% premium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그리고 수요가 너무 많아서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30%의 프리미엄을 얹어 가상화폐가 거래되어 왔다.

Taken together, you get a decent feel for how big this industry has become in a country of fewer than 50 million people.

모두 종합해보면, 인구 5천만명이 안되는 나라에서 이 산업이 얼마나 커졌는지 어느정도 감이 올 것이다.

Amid tales of schoolchildren and housewives rushing in to buy virtual currency, South Korea's government has branded the trend "irrational".

어린 학생과 주부들이 가상화폐를 사기위해 몰려든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가운데, 한국 정부는 이런 동향을 "비이성적"이라고 단정했다. 

And so when trading exchanges are being raided by the tax authorities and your justice minister mentions potential bans on all cryptocurrency trading, it is perhaps little wonder that the industry globally is noticing and that markets are responding.

그래서 거래소가 과세당국에 단속되고 법무부장관이 모든 가상화폐거래를 금지할 수도 있다고 밝힌다면, 전세계 가상화폐산업이 주목하고 시장이 반응을 보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The role of technology

기술의 역할

Many South Koreans, especial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are digital-loving and tech-savvy, which makes digital currencies something appealing to explore and perhaps dabble in.

특히 더 젊은 세대들 중에, 많은 한국인들은 디지탈을 좋아하고 기술을 잘 알고 있어, 이런 특성이 전자화폐를 자세히 살펴보고 시도해보도록 관심을 끄는 무언가로 여기게 한다.

The country has first-class infrastructure for IT networks and offers very fast internet connections - all things which make trading cryptocurrencies easier and faster.

한국은 일류 수준의 정보기술 네트워크 기반시설을 갖추고 있고 매우빠른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데, 이는 가상화폐를 더 쉽고 빠르게 거래할 수 있게 해준다.

According to analytics firm WiseApp, the number of cryptocurrency app users in South Korea has increase 14-fold in the past three months to about two million users.

와이즈앱(WiseApp)이라는 분석 회사에 의하면, 한국의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앱) 사용자 수가 지난 3개월간 14배 증가해서 약 2백만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Most are in their 30s with users spending an average of 26 minutes on the apps daily.

대부분의 사용자가 30대이며, 이들은 매일 앱을 26분동안 사용한다.

The role of the economy

경제의 역할

The huge price rises enjoyed by many virtual currencies during 2017, and the associated media coverage, is a major reason so many worldwide have decided to invest in, or gamble with, this new technology.

2017년에 많은 가상 화폐가 누렸던 엄청난 가격 상승, 그리고 그와 관련된 대중매체 보도 때문에 전세계 사람들이 이 기술에 투자하거나 혹은 이 기술로 도박을 하기로 마음먹게 되었다.

In South Korea it's suggested this appeal has been amplified by the state of the economy which has been slowing in recent years.

한국에서는, 최근 침체되고 있는 경제 상황에 의해 이러한 매력이 증폭되었음을 암시한다.

Rising unemployment,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is also being linked with a growing number of people looking at new ways to try and make money.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는 실업률 또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시도해서 돈을 벌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고려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So unsurprisingly, with so many South Koreans keen to fulfil their financial hopes and dreams through cryptocurrency trades, there is resistance to plans for a crypto-clampdown.

그러므로 자신의 재정적 희망과 꿈을 충족시키고 싶어하는 그렇게 많은 한국인들이 가상화폐를 엄중단속하려는 계획에 저항하고 있다는 것은 놀랍지 않은 일이다.

More than 200,000 people have now signed a petition on President Moon Jae-in's official website asking that the "happy dreams" of Bitcoin traders in South Korea can remain in place.

비트코인을 거래하는 사람들의 "행복한 꿈"이 유지될 수 있게 해 달라고 하면서, 현재 2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문재인 대통령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청원서명을 했다.

South Korea's government has made a commitment to answer such petitions that reach more than 200,000 signatures within 30 days.

한국 정부는 20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은 청원에 대해 30일 이내에 답하겠다고 약속했다.

Meaning this debate has a long way to run.

말하자면 이 논쟁은 갈 길이 멀다는 뜻이다.


* 역자주: 원문에서는 cryptocurrency(암호화폐)와 virtual currency(가상화폐) 두 가지로 표현되어 있고, 엄밀히 따지면 이 둘은 차이가 있으나, 여기서는 가상화폐 자체에 대해서 다루고 있어 문맥상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하여 가상화폐로 용어를 통일하여 번역하였습니다.

** 원문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please find original article in the following link)

http://www.bbc.com/news/business-42713314

posted by Simmani
: